이번 연구 용역은 포항영일만항이 지난 2009년 개항한지 5년이 된 후발 항만으로 물동량 확보와 북극항로의 활용을 통한 포항영일만항 활성화를 위해 한국해양대학교 항만물류분야, 북극항로분야 전문교수 등에게 의뢰 용역을 수행했다.
‘포항영일만항 물동량 확보대책 수립’ 용역의 주요 내용은 대경권 수출입 기업의 물동량 분석, 타겟 기업 설정, 기업체 방문·홍보, 포트세일즈를 통한 단기, 중·장기 물동량 확보 전략에 관한 내용이다.
현재까지 포항영일만항 물동량 처리 실적은 개항 년도인 2009년에 5257TEU에서 2013년에는 14만3866TEU로 27배 성장을 했으며 누적 물동량은 61만TEU에 이른다. 향후 본 용역의 결과를 활용, 경북도와 포항시 등 관계기관은 영일만항의 물동량 유치에 총력을 다하여 연간 20만TEU 이상 처리를 목표로 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북극항로 상용화 대비 대응방안 연구’ 용역은 러시아, 중국(동북 3성) 등 북방 항만 간 교류를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정 핵심과제인 북방 이니셔티브에 동참하고 북극항로 상용화에 대비해 대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이번 용역의 주요 내용은 북극항로 현황·사례조사, 중앙부처 북극종합정책 분석, 법·제도 검토, 북극항로 상용화시 유치계획 수립, 러시아 극동 항만과의 교류·협력 증진 방안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는 이번 용역의 결과를 활용해 ‘경상북도 북극항로 상용화 대응 마스터플랜’을 수립, 북극항로 활용을 통한 북방진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향후 다가오는 북극항로의 상용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이두환 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포항영일만항 물동량 확보대책 수립, 북극항로 상용화 대비 대응방안 연구 용역을 통해 제시된 단기 및 중·장기 영일만항 물동량 확보 전략을 착실히 추진함으로서 포항항을 명실상무한 환동해 거점항만으로 육성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