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3일 열린 ITU 전권회의 15일차 본회의에서 'IoT 촉진' 의제가 ITU의 최초 결의로 채택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ITU 및 회원국들의 관련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사물인터넷 의제는 미래 초연결사회의 핵심 요소인 IoT에 대한 인식 제고와 IoT 산업 발전을 위한 ITU의 역할 강화를 골자로 한다. 한국이 개발해 지난 8월 아·태 지역 공동결의안으로 제안했고 전권회의 실무협의체인 '워킹그룹'에서 본회의 상정을 합의했고, 결국 3일 열린 본회의에서 최종 결의로 승인된 것이다.
우리나라가 전권회의에서 특정 의제를 제안한 것은 1952년 ITU 가입 이래 처음이다. 특히 IoT 의제는 ITU 전권회의 사상 최초로 제안돼 결의로 채택된 만큼 앞으로 IoT 관련 글로벌 정책과 기술표준에서 우리나라의 발언권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결의안 채택에 따라 ITU는 IoT를 에너지, 교통, 보건, 홈 네트워크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해 비ICT 분야에도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과 협력하게 된다.
ITU 표준화총국장은 다양한 IoT 서비스 출현을 촉진할 수 있는 연구반 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주력하고, 개발총국장은 IoT 서비스 지원이 필요한 국가에 세미나, 워크숍 등을 통한 역량 지원 사업을 주로 맡는다. 사무총장은 이들 총국과 협력해 결의의 이행을 촉진하고 이행 결과를 이사회 및 차기 전권회의에 결과보고서 형태로 제출한다.
전권회의 준비기획단 이상학 부단장은 "본 결의안 채택은 IoT가 향후 글로벌 경제는 물론 우리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세계가 인정한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세계 정보통신 정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게 됐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3/20141103193122929216.jpg)
IUT전권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해 만든 '사물인터넷(IoT) 촉진' 의제가 결의로 채택됐다 [사진=미래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