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4/20141104112158838784.jpg)
2015년 국내 건설수주 전망.[자료=한국건설산업연구원]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 내년 국내 건설수주액이 올해에 비해 4.9% 증가한 110조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국회에 계류 중인 주요 법안의 입법화 및 조기 시행이 향후 건설경기 회복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4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2015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건설경기 전망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의 발표에 따르면 내년 국내 건설수주액은 올해 104조9000억원 보다 5조1000억원(4.9%) 늘어난 110조원으로 예상된다.
부문별 수주액은 공공 40조3000억원, 민간 69조7000억원, 공종별 수주액은 토목 34조원, 건축 76조원이다.
민간 수주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택수주 회복과 일부 회복된 거시경제, 대기업 설비투자 증가의 영향으로 비주거 건축 및 토목 수주가 증가해 올해 65조4000억원 보다 4조3000억원(6.6%) 증가할 전망이다.
공공 수주는 토목수주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건축수주가 부진해 올해 39조5000억원에 비해 8000억원(2%)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건설투자액은 올해 202조5300억원에 비해 6조9400억원(3.4%) 증가한 209조47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 상반기부터 건설수주가 양호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내년 건설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 연구위원은 건설경기의 회복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불확실성 요인을 관리하고, 건설업체의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을 당분간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건설경기가 올해 회복 국면에 진입해 내년에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겠으나, 수주액은 110조원으로 건설경기 침체 직전인 2007년 127조9000억원에 비해 여전히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며 “건설경기가 정상 수준에 이르기 위해서는 현재의 회복 국면이 향후 2년 이상 지속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 계류된 부동산시장 활성화 관련 법안의 입법화 여부가 향후 건설경기 회복세를 좌우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만약 다수의 법안이 입법화되지 않고 9‧1 대책 후속조치에 의해 입법예고된 대책들도 서울시 등의 반대로 시행에 차질을 빚는다면 정책효과에 의해 살아나는 주택투자의 회복세가 다시 주춤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건설업계에 대해서는 불확실성 요인에 대비한 리스크관리 전략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한 구조조정 전략 마련을 당부했다.
이 연구위원은 “건설경기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으나 불확실성 요인이 존재하고 과거와 달리 회복 국면이 상대적으로 짧고 회복 수준이 낮을 것을 감안해 리스크관리 전략이 필요하다”며 “건설경기 회복 국면 중 향후 국내 건설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한 구조조정 전략을 시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