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부품소재․의료산업 등은 한중 FTA에 대해 일단 긍정적인 반응이다.
농산품보다 공산품 생산이 많은 광주시의 경우 대중국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전자응용기기, 자동차 부품, 냉장고 등이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시가 전략산업으로 육성중인 부품소재산업과 의료산업 등 기술 우위를 보유한 분야와 문화콘텐츠, 미용재료 등도 교역이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농도이면서 수산업 비중이 높은 전남도는 농축수산업 피해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경제연구원과 수산경제연구원이 전 품목의 관세가 철폐됐다고 가정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농축산 분야의 경우 발효 후 10년차에 전남도의 피해 추정치가 연간 4481억원, 수산 분야의 피해 추정치는 연간 3540억∼5348억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농축산 분야는 전국 피해 추정치의 5분의1, 수산 분야는 전국 피해 추정치의 절반에 달한다. 이는 한·미 FTA 피해액(1136억원)의 4배, 한·EU FTA 피해액(219억원)의 20배라고 분석했다.
다만 쌀 등 농작물과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축산품목, 전남에서 생산되는 주요 수산물이 양허대상 제외 등 초민감품목군에 포함돼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관련업계에서는 반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남도와 도의회는 농업인 피해를 최소화하고 농업인이 신뢰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이 지사는 성명을 통해 ▲ 무역이익 공유제 시행 ▲ 농산물 가격안정기금 조성 ▲ 농가 수입보장 보험 실시 등을 포함한 '농업·농촌 활성화 지원법' 제정 ▲ 주요 곡물 자급률 목표 상향 ▲ 밭 농업 기계화율 제고 ▲ FTA 피해보전직불제 현실화 등을 정부에 제안했다.
전남도의회도 "그동안 한·중FTA 협상의 졸속 추진을 강하게 규탄하며 전국의 농어업인들은 협상을 당장 중단해 줄 것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음에도 타결을 선언했다"며 "농산물 최저가격 보상제 등 농가 소득안정을 위한 대책을 제도화하는 등 후속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한다"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