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KB금융지주 사외이사들이 KB금융 사태에 대한 책임론에도 불구하고 거취표명을 연일 미루고 있어 파장이 커지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이사회는 지난 12일 임시 이사회를 개최해 '모범적인 지배구조 정착을 위한 프로젝트 추진'을 결의했다.
KB금융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했으며, 내년 3월까지 △최고경영자(CEO) 승계 및 양성프로그램 전면 개편 △이사 추천 및 사외이사 평가 프로세스 재점검 △이사회 내 위원회 기능 재점검 △계열사 대표 및 그룹 주요 임원 추천제도 개선 등 지배구조와 관련된 사항을 점검하고 개선안을 도출키로 했다.
이날 이사회에서 사외이사들은 이와 별도로 금융권의 관심이 집중된 향후 거취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했다.
김영진 사외이사는 이사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사외이사 거취에 대한 논의가 있었냐'는 질문에 "거취에 대한 이야기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경재 이사회 의장 역시 거취 표명에 대한 질문에 답하지 않고 본사를 빠져나갔다.
KB금융 사외이사들은 KB사태를 방관했다는 비판과 함께 KB금융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금융당국뿐만 아니라 금융권 안팎에서 사퇴 압박을 받아왔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KB사태에서 느낀 것은 사외이사 제도 전반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며 "사외이사들에게 책임은 없고 권한만 있다"고 지적했다.
정찬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도 지난 6일 열린 학술세미나에서 "금융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 경영진의 독단을 견제할 수 있는 견고한 지배구조가 확보돼야 한다"며 "문제변화 없이는 추락이 있을 뿐"이라고 언급했다.
거취 표명과 별도로 이사회가 지배구조 개선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한 것을 두고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TF에 사외이사들이 참여하진 않지만, 개선 대상 중 하나인 이사회가 직접 개선책을 찾겠다고 나선 셈이기 때문이다.
이사회의 주도로 TFT가 꾸려진 데다 책임론에 시달려온 사외이사들이 연이어 사퇴를 거부하고 있어, KB금융 지배구조에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KB금융 사외이사들이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데다 이 때까지 TFT를 통한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내놓기로 한 만큼, 상당수 사외이사들의 임기만료가 맞물리는 3월께 자리에서 물러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임기 만료 전에 사퇴할 경우 사실상 KB사태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반발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이 의장이 "자리에 아무런 미련도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진 만큼 사퇴 가능성도 열려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사퇴 압박에 대해 '관치'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실제 사퇴로 이이질 지는 미지수다.
당장 속이 타는 것은 KB금융이다. 금융당국이 사실상 LIG손해보험 자회사 편입 승인을 두고 사외이사들의 사퇴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월 LIG손보와 인수 계약을 체결한 KB금융은 지난달 27일부터 하루에 1억1000만원가량을 LIG손보 대주주 측에 지급해야 한다.
KB금융과 LIG손보가 인수 지연 이자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지만, KB금융 입장에서는 지연에 따른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문제는 금융위의 승인이 언제 떨어질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당장 오는 26일 금융위가 정례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지만 사실상 KB금융 사외이사들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어, 정례회의에서 안건이 논의될지도 불투명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