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아이클릭아트]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
아주경제 이광효 기자=일반인들이 매일 사용하는 물비누와 치약 등을 사용하면 암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실험 결과가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의 화학과·생화학과·약리학과의 로버트 튜키 교수와 UC 데이비스의 브루스 해먹 교수 등은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에 대해 항균 물비누, 바디워시, 치약 등에 많이 사용되는 항균제 '트리클로산'이 간섬유화(liver fibrosis)와 암을 유발한다는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는 내용이 담긴 논문을 지난 17일(현지시간) 발행된 미국 학술원회보(PNAS)에 실었다.
발표된 논문을 보면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에 대해 6개월 동안 트리클로산에 노출된 쥐는 화학물질에 의해 유도된 간 종양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았고 종양 크기도 더 컸다.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에 대해 연구진은 트리클로산에 노출돼 쥐의 발병이 늘어나는 기전을 검토한 결과 인간에게도 마찬가지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튜키 교수는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에 대해 “환경에서 채취된 샘플에서 트리클로산이 검출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소비자용 제품에서 이 물질이 널리 쓰이고 있다”며 “이 물질의 사용에 따른 이득은 그리 크지 않은 반면 쥐와 마찬가지로 사람에 대한 간 독성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에 대해 “유사한 작용을 하는 다른 화합물과 함께 트리클로산에 노출될 때 위험이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먹 교수는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에 대해 “손을 씻는 데 사용되는 물비누처럼 트리클로산이 많이 사용되는데 그에 따른 이득은 적다면 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 트리클로산의 인체·환경 노출을 줄일 수 있다”며 “다만 치약은 트리클로산 사용량이 적고 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므로 그대로 사용해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에 대해 트리클로산은 미국의 강에서 제일 흔히 검출되는 7개의 화합물 중 하나다. 수유를 하는 산부의 모유 중 97%, 검사 대상자 중 75%의 소변에서 이 물질이 검출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FDA는 최근 수년 동안 트리클로산이 호르몬 분비 장애를 일으키고 근수축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옴에 따라 사용을 제한해야 할지를 검토 중이다.
지난달 7일 국회에서 있었던 보건복지위원회의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트리클로산의 유해성이 지적됐다.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 간섬유화 암 유발 위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