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폐렴 환자는 2009년 135만3423명에서 2013년 147만5140명으로 5년 새 12만2717명(9.0%) 증가했다.
작년 기준 연령별 환자 분포를 보면 10세 미만(44.9%)이 가장 많고, 이어 70세 이상(14.1%), 50대(9.0%)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최근 환자가 가장 빠르게 늘어난 연령대는 70세 이상(45%)이었고, 지난해 폐렴은 70대와 80대 노인의 사망원인 중 각 5위와 4위를 차지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으로 인해 폐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기침, 가래, 열 등 일반적인 감기나 독감과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또 가슴 통증,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이나 두통, 근육통 등 전신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노인의 경우 20~30%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뒤늦은 진료를 통해 폐렴을 진단받기도 한다.
감기로 생각했더라도 높은 열이 발생하고 화농성 가래와 호흡곤란, 무기력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를 찾아 폐렴 여부를 진단해야 한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70세 이상 폐렴 환자 급증, 조심해야지", "70세 이상 폐렴 환자 급증, 부모님 잘 챙겨드려야겠다", "70세 이상 폐렴 환자 급증, 폐렴 무섭지" 등의 반응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