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투자업계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공무원 퇴직연금 캘퍼스(CalPERS)는 지난 9월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 중단을 선언했다.
최근 총 자산의 1.4%(40억 달러·한화 4조4000억원)를 헤지펀드에 투자중이었던 캘퍼스는 올해 7.1%의 수익을 거뒀다.다. 전체 투자수익률 18.4%에 비하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캘퍼스는 2002년부터 최근까지 12년간 헤지펀드에 투자해왔다. 과거 3년간 자산별 수익률을 따져봐도 헤지펀드(3.8%)의 성과는 미국 주식(17.5%), 사모펀드(15.3%), 해외주식(8.5%), 채권(5.9%) 등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 성과보다 낮았다.
수수료 부담도 투자 중단의 이유로 꼽힌다. 헤지펀드는 운용보수가 2% 내외이며, 성과보수가 20% 수준에 달한다. 이밖에 헤지펀드 선정 과정의 불투명성과 복잡한 상품구조 등도 걸림돌로 지적된다.
이러한 이유들로 캘퍼스 외에 미국 6대 연금 중 하나인 텍사스교원퇴직연금도 헤지펀드 투자 비중을 9%에서 8%로 낮추기로 했다. 지난 6월에는 영국 런던연금펀드(LPFA)도 헤지펀드에 대한 투자분을 회수했다.
반면 국민연금은 내년부터 대체투자의 일환으로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안남기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국내 기관투자자들도 해외 투자전략을 마련할 때 해외 기관들의 투자전략 변화와 헤지펀드를 대체할 신상품 추세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