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2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전망이 담긴 '2013~2023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및 시사점'을 보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간(2013∼2023년) 15세 이상 인구는 204만명, 경제활동인구는 358만명, 취업자는 322만명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공급(노동력) 측면에서 봤을 때 50세 이상은 558만명 증가하지만 50세 미만은 354만명 감소해 고령사회의 단면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이 기간에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크게 증가(여 6.0% 포인트, 남 4.1% 포인트)하면서 경력단절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저출산 등의 영향으로 청년과 중년층은 감소하지만 55세 이상 장년층의 경제활동인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인력 수요(취업자) 측면에서는 2023년까지 취업자가 322만명 증가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15∼64세) 고용률이 71.8%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사회복지서비스업(73만8000명), 사업지원서비스업(37만8000명), 보건업(35만5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농업(13만8000명), 교육서비스업(5만6000명), 금융업(4만명) 등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직업별로 보면 총무사무원(8만명), 간병인(7만6000명), 경리사무원(7만5000명) 등은 취업자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반해 곡식작물 재배원(11만7000명), 문리 및 어학강사(2만2000명), 건설 및 광업 단순종사원(1만8000명) 등은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향후 성장과 고용을 견인할 수 있는 분야를 분석한 결과 창조산업(연구개발인력)은 2013∼2017년에 14만명, 정보통신(ICT)분야는 2011∼2018년에 11만명, 사회서비스업은 2013∼2017년에 75만명의 취업자가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신규인력 수급차를 전망해 보니 향후 10년간 신규인력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신규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학력별로 고졸자는 초과수요(210만명)가 클 것으로 예상됐다. 대졸도 초과수요(30만명)가 전망됐으나 전문대와 대학원 졸업자는 초과공급(30만명)이 점쳐졌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직(70만명), 서비스직(58만명), 장치·기계조작원(24만명) 등에서 초과수요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이런 전망을 토대로 △인구증가 둔화에 대응한 효율적인 인력활용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개혁 △고용률 증가와 일자리의 질 제고 노력 병행 △양질의 인력 양성·공급 및 산업구조의 선진화·적정 규모의 외국인력 활용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정형우 고용부 노동시장정책관은 "여성과 장년층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산업계 전반에 분포한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