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은 지난달 24일 교육부가 위원장을 외부 인사로 선임하는 등 외부 전문가를 주축으로 구성하고 교육계 인사뿐 아니라 법조인 등 다양한 비교육계 인사도 참여하도록 할 것이라는 약속과도 다르다고 밝혔다.
교총은 수능개선위원회를 구성한 것은 계속되는 수능 출제 오류로 인해 엄청난 교육적·사회적 피해와 대가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수능체제 개선 및 대입제도 개혁에 대해 거는 기대가 어느 때보다 크지만 7명의 위원 가운데 현장 교원은 구색 맞추기로 단 1명만 포함된 것 자체가 교육부의 혁신 의지를 의심케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총은 대통령까지 나서 수능의 근본적 개선을 지시한 마당에 일반직 관료들이 중심이 된 대학지원실의 안이한 탁상행정으로는 이 문제의 근본적 해결이 어렵고 초중등학교와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정책실로 수능 출제와 운영을 이관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총은 단순히 수능을 개선하는 차원으로는 우리나라 대입제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고 초·중등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을 통한 교육본질 회복을 위해 수능을 대학 이전 교육과정을 제대로 이수한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학업성취, 즉 학습의 위계에서 기초적인 수준에 해당되는 절대평가 성격의 문제은행식 국가기초학력평가로의 전환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교총은 수능출제 방식 개선이라는 미봉책에 머물지 말고 수능, 내신, 면접 등 대학 입시제도에 대한 상호연계성 등 항존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범국민 참여 대입제도 협의기구를 조속히 구성할 것도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