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09/20141209095334557135.jpg)
[사진=인터넷사진]
아주경제 주진 기자= 안봉근(48) 청와대 제2부속비서관은 9일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불러온 청와대 문건유출 파문과 관련, 문건 내용의 제보자로 알려진 박동열(61) 전 대전지방국세청장과 "청와대에 들어온 이후 단 한번도 만나거나 연락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안 비서관이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세계일보 등은 "검찰이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한 박 전 대전지방국세청장은 고향 후배인 안 비서관과 자주 만남을 가져왔으며 박 전 청장이 안 비서관과의 대화내용을 박 경정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사정기관을 인용해 "경북 경산 출신인 안 비서관은 고향 선배인 박 전 청장과 서로 '형님' '동생'으로 호칭할 정도로 오랜 기간 사적 만남을 이어왔다"며 "청와대도 이런 사실을 파악하고 안 비서관에게 '박 전 청장을 계속 만날 경우 둘 사이를 스폰서 관계로 오해할 수 있으니 접촉을 삼가라'고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고 덧붙였다.
앞서 검찰은 민정수석실에 근무할 당시 문건을 작성한 박관천 경정과 문건내용의 제보자로 알려진 박 전 대전지방국세청장을 8일 소환, 조사했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박 경정이 제보자인 전 지방국세청장 출신 박모 씨로부터 '비밀회동' 내용을 접했을 때 그 출처로 김춘식 청와대 행정관이 거론됐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이날 전격적으로 3자 대질 조사를 벌였다.
검찰은 이른바 '십상시'로 지목된 청와대 행정관, 비서관들의 휴대전화 위치 추적과 모임이 있었다는 서울 강남의 JS가든 예약, 결제 내역 등을 확보해 비밀회동설이 실체가 없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다.
세 사람의 대질 조사는 사실상 '비밀회동' 문건이 나오게 된 경위를 따지는 마지막 퍼즐 맞추기인 셈이 됐다.
세 사람의 대질 조사는 사실상 '비밀회동' 문건이 나오게 된 경위를 따지는 마지막 퍼즐 맞추기인 셈이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