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잠재성장률 하락 막기 위해 이민확대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14 14: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생산인구 유지 위해 2030년까지 427만명 이민자 필요

[그래프=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생산인구감소의 파급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이민확대 정책에 대한 전향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은 14일 발표한 ‘이민확대의 필요성과 경제적 효과’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현재 인구구조 변화가 지속될 경우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급격히 낮아져 2050년대 후반부터 1%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잠재성장률을 결정하는 변수 중 하나인 노동투입의 경제성장 기여도는 2026년에 마이너스로 전환돼 2060년에는 마이너스 0.87%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했다.

통계청은 지난 11일 2040년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전체 인구의 절반 수준인 56%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잠재성장률 1% 포인트를 높이는데 필요한 이민자수는 체증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다. 이에 필요 이민자수는 2015년 166만500명, 2030년 926만7500명, 2050년 1479만1700명, 2060년 1722만4,400명(누적 기준)일 것으로 추정했다.

조경엽 한경연 공공정책연구실장은 “생산인구가 감소하면서 잠재성장률이 점차 떨어지고 성장률을 올리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며, “머지않아 생산인구감소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이민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생산가능인구가 본격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이 전망한 2017년 이후에 생산가능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이민자 수 추정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2020년에 필요한 이민자 수는 60만5000명, 2030년 427만4000명, 2050년 1182만1000명, 2060년 1530만2000명(누적 기준)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이민자 유입을 통해 필요한 생산가능인구수가 유지될 경우의 경제성장률은 2020년 3.4%, 2030년 3.1%, 2050년 2.5%, 2060년 2.1%로 현 상황에서 예상되는 기존 2060년 경제성장률 추정치 0.7%보다 1% 포인트 가량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필요한 이민자 수가 매우 큰 규모로 이를 쉽게 충족시킬 수 없을 것”이라며, 생산가능인구수 감소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했다.

한경연은 “현재는 정부가 숙련·전문 인력을 이민 확대 정책 대상의 우선순위로 삼고 있다”며, “정책 방향은 타당하지만 실제로 숙련·전문인력의 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단순 노동 인력의 국내 정주화를 위한 정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 실장은 “외국인 인력이 전체 인구의 3.1% 이상을 차지하고 대상도 점차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현재 이민정책이 부처별로 분산·추진되고 있어 부처 간의 중복과 갈등 소지가 높다”며, 종합적·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장기적인 이민정책을 수립하려면 인구구조·산업구조·국제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중장기적 외국인력 수요전망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