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사례 공모전은 단위학교 차원의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학부모 학교참여를 모든 학교현장으로 확산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우수사례 공모전은 학교교육 참여, 학부모 자원봉사, 학부모 교육, 가정-학교간 소통의 4개 분야별로 진행해 시·도교육청의 추천을 받은 201개의 사례 중 최우수상 4개, 우수상 4개, 장려상 92개 등 총 100개 학부모회 및 학교의 우수사례를 선정했다.
선정대상에는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학부모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학부모가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프로그램 시간을 대부분 토요일 또는 야간에 운영했다.
학생의 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부모와 함께하는 신나는 문화기행, 행복한 토요산행, 즐거운 독서와 도서관 축제를 개최하고 학부모 자아실현을 위해 학부모 연수, 재능UP 평생교육, 책 읽어주는 부모님을 운영하는 한편 학교발전이란 주제로 학부모와의 소통증진 프로젝트와 학교교육 모니터링을 통해 부모와 학생이 함께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를 통해 학생·학부모·학교간의 원활한 소통은 물론 학부모의 학교참여를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자원봉사 분야에서 선정된 강원 장성초 실타래봉사단은 학생 수 95명의 농촌 소규모학교의 학부모회가 지역사회와 연계해 지역과 함께하는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사례를 보여줬다는 평가다.
실태래 교통봉사단은 학생 교통사고율 제로를 목표로 학생 등하교 교통지도를 해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실타래 독서동아리는 매주 금요일 학생들에게 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해 학부모와 학생의 공동 관심사를 공유해 왔다.
실타래 환경봉사단은 학교 텃밭을 조성해 학생에게 생태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태백시자원봉사센터와 함께 어르신들을 위한 털모자 뜨기 나눔, 김밥 나눔, 김장김치 나눔 등의 활동을 통해 학부모회의 자원봉사가 학교를 너머 지역사회까지 활동 범위를 넓혀 지역봉사단체로 성장한 것으로 평가된다.
학부모교육 분야에서 선정된 경기 송운중학교는 사업을 가장 체계적으로 추진한 사례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선정 시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사업종료 후 사업성과 분석과 만족도를 조사해 다음연도 사업에 반영하는 등 사업추진 전 과정이 체계적이고 모범적인 것으로 평가받았다.
학부모교육을 통해 학부모와 학교가 동반성장 한다는 목표로 자녀의 꿈을 이해하기 위해 글로벌 부모학교를 운영하는 꿈-UP, 클레이 아트 등 다양한 문화활동을 경험해 진정한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끼-UP, 학교대회 심사위원, 서포터즈 등으로 교육 현장에 참여하게 해 학교구성원의 만족감과 자존감을 높이는 성장-UP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학부모의 자발적인 교육 참여를 높이고 학부모의 자녀교육을 위한 역량제고에도 이바지 해왔다.
가정-학교간 소통분야에서 선정된 인천경원초등학교는 학교만의 독특한 소통프로그램인 일맥삼통 행복프로젝트를 만들어 운영하면서 수요자 중심의 학교소식 나눔터로 야간 학교설명회인 경원 별밤 소식통,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하는 조부모 소식통, 아빠와 함께하는 부자일체 소식통, 학교가 실시하고 있는 학생 대상의 교육활동에 직접 체험하고 학교폭력예방교육 학부모 체험교실, 꿈자라미 독서교육 학부모 체험교실, 퍼니 효교육 학부모 체험교실, 과학동산 체험교실 등을 운영하는 체험통, 학부모 학교참여를 통한 실천적인 활동으로 학교폭력예방 캠페인, 친구사랑 서명운동, 진로체험교실, 교육기부 요리교실, 다도교실 등을 통해 학부모의 학교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참여통으로 학교중심의 일방적인 소통문화를 쌍방향 소통으로 개선하고 이를 통해 학부모의 학교참여로 이끌어 모두가 주인이 되는 학교를 만드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교육부는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전국 초·중·고 1,000개의 학부모회를 공모·선정해 지원하고 20개의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시범학교를 운영하는 가운데 학부모의 교육기회 확대와 및 교육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100개의 우수사례는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우수사례집으로 발간해 전국 학교와 학부모회에 배포하고 전국학부모지원센터(www.parents.go.kr)등에 게재해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활동 우수모델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