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조문식 기자 =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 이후 새누리당이 연말 임시국회 주도권 잡기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야권의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 등과 맞물려 수세에 몰렸던 여권은 헌재의 이번 판결 이후 경제활성화 민생법안 처리는 물론 공무원연금 개혁에 대해서도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21일 강원도 양구군 육군 제12사단을 방문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검찰 수사가 종료된 뒤 야당이 요구하는 운영위는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시점에서 국회가 해야 할 제일 중요한 일은 기업이 제대로 일하게 도와주고 민생경제 활성화법을 통과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여권 내부에서는 개각을 포함해 청와대 비서진 일부 교체 등 인적 쇄신의 필요성에 대해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야권의 공세를 차단하고, 야당이 요구하는 국회 운영위 개최 등에도 이번 주에는 적극적으로 응해 임시국회 정상화를 이끈다는 전략을 이미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과거 새정치민주연합과 통진당의 야권연대를 문제 삼아 대야 압박 수위도 높일 방침이다.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산적한 민생법안 처리를 위해 소집됐던 12월 임시국회가 속칭 ‘비선 실세’ 의혹을 둘러싼 새정치연합의 무리한 주장으로 파행을 맞고 있는 것이 매우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헌재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은 자유민주주의를 확고하게 지켜낸 결정”이라며 “헌재의 결정과 국민의 여론은 결국 더 이상의 이념논쟁과 정쟁을 종식하고 경제살리기와 민생에 매진하라는 뜻”이라고 평했다. 이어 공무원연금 국민대타협기구에 대해서도 “공무원연금 개혁은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라고 야권을 정조준했다.
이처럼 새누리당은 연내 처리 방침을 세웠던 30개 민생법 가운데 부동산 3법과 서비스발전법 등 22개 미처리법안을 처리하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공무원연금 개혁을 놓고도 새정치연합 새 지도부 구성 이전인 문희상 비대위원장 체제에서 내년 2월 임시국회까지는 가닥을 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22일 별도 회동을 통해 실무 협상을 마무리한 뒤 23일 예정된 원내대표 주례회동에서 현안에 대한 일괄 타결을 시도한다. 또 주례회동을 대표·원내대표 연석회의로 확대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21일 강원도 양구군 육군 제12사단을 방문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검찰 수사가 종료된 뒤 야당이 요구하는 운영위는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 시점에서 국회가 해야 할 제일 중요한 일은 기업이 제대로 일하게 도와주고 민생경제 활성화법을 통과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여권 내부에서는 개각을 포함해 청와대 비서진 일부 교체 등 인적 쇄신의 필요성에 대해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야권의 공세를 차단하고, 야당이 요구하는 국회 운영위 개최 등에도 이번 주에는 적극적으로 응해 임시국회 정상화를 이끈다는 전략을 이미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과거 새정치민주연합과 통진당의 야권연대를 문제 삼아 대야 압박 수위도 높일 방침이다.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산적한 민생법안 처리를 위해 소집됐던 12월 임시국회가 속칭 ‘비선 실세’ 의혹을 둘러싼 새정치연합의 무리한 주장으로 파행을 맞고 있는 것이 매우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헌재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은 자유민주주의를 확고하게 지켜낸 결정”이라며 “헌재의 결정과 국민의 여론은 결국 더 이상의 이념논쟁과 정쟁을 종식하고 경제살리기와 민생에 매진하라는 뜻”이라고 평했다. 이어 공무원연금 국민대타협기구에 대해서도 “공무원연금 개혁은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라고 야권을 정조준했다.
이처럼 새누리당은 연내 처리 방침을 세웠던 30개 민생법 가운데 부동산 3법과 서비스발전법 등 22개 미처리법안을 처리하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공무원연금 개혁을 놓고도 새정치연합 새 지도부 구성 이전인 문희상 비대위원장 체제에서 내년 2월 임시국회까지는 가닥을 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22일 별도 회동을 통해 실무 협상을 마무리한 뒤 23일 예정된 원내대표 주례회동에서 현안에 대한 일괄 타결을 시도한다. 또 주례회동을 대표·원내대표 연석회의로 확대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