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슈 전망 보고서에서 2015년도 우리나라 인터넷 산업분야는 △연결과 융합 가속화 △신규 플랫폼서비스 경쟁 △인프라 강화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따른 생태계 전반의 패러다임과 구조의 확장 및 진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함께 ICT 부문 규제 완화에 따라 ICT와 타 산업 간 융합이 본격화 되고, 웨어러블과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 관련 기술이 다양한 산업의 부가가치 증대에 기여할 것이라 예상했다.
2015년도 주요 인터넷산업 이슈로는 △오감(五感) 인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새롭게 쓰는 인터넷 금융의 역사 '핀테크' △초연결사회의 하이웨이 '기가인터넷' △세계를 겨냥한 벤처 '글로벌 스타트업' 약진 △미래인터넷을 앞당기는 '오픈소스 생태계' 등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현재 스팸이나 DDoS 등 단순한 패턴의 공격에 대비한 보안은 강화되고 있으나 보안 규격이 미비한 사물인터넷(IoT) 기기나 클라우드를 대상으로 한 취약점 중심의 공격 증가에 대한 대비 필요성을 제기했다.
2015년도 주요 정보보호산업 이슈로는 △IoT 실증의 관건 'Embedded & Linked 보안'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밀착형 클라우드 보안' △빅데이터 산업 성장촉진제 '개인식별정보 보안' △선제적 공격 대응으로 전환되는 사이버戰 △LTE급 '지능형 사이버 사기' 등을 제시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백기승 원장은 “연결과 융합의 가속화에 따라 사이버 생태계의 변화가 LTE급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발 앞서 바라보고 한발 빠르게 대응하는 것만이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성장과 생존을 담보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