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순영 기자 =박싱데이 품목 대부분 비인기제품에 사이즈도 없어 “빈수레 요란?”…박싱데이 품목 대부분 비인기제품에 사이즈도 없어 “빈수레 요란?”
‘박싱데이’가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부추기고 있지만 정작 평은 좋지 않다.
유통회사의 연말 마지막 재고떨이 행사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는 박싱데이는 유럽에서 크리스마스 다음날 다양한 물건을 상자에 담아 선물하던 전통에서 유래됐다.
미국의 길트, 아마존 등 미국 주요 유통업체들은 지난 24일부터 박싱데이 세일에 들어가 최대 60%에서 80% 저렴한 값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직구를 결심한 소비자들에게 박싱데이 행사는 떨이상품의 질과 양으로 실망을 안겨줄 수 있다.
박싱데이 행사제품들은 할인폭이 큰 대신 인기 사이즈나 품목은 재고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블랙프라이데이 때보다 훨씬 더 손품을 팔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해외 박싱데이 행사 주요 업체들의 제품들을 보면 상품이 1~2개밖에 남지 않았다는 문구가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한편 얼마 전 블랙프라이데이 때 ‘미투 행사’로 재미를 봤던 국내 유통업체들은 이번 박싱데이에도 맞불 이벤트를 펼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26일 ‘롯데 박싱데이 특별기획전’을 열고 4개 온라인몰에서 겨울 의류 및 잡화 50억원어치를 최대 80% 할인하고, 현대백화점은 아르마니꼴레지오니 여성지갑을 41만5천원, 나이키 남성 트레이닝 바지를 4만4천500원 등에 판매한다.
홈플러스도 30일까지 전 점포에서 '1년 중 가장 큰 세일'을 진행, 3천여개 인기 상품을 최대 70% 저렴하게 내놓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26/20141226105043808808.gif)
[영상=아주방송]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