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박근혜 정부 집권 2년차가 마감된 가운데 ‘3포 세대(연애·결혼·출산 등을 포기한 세대)’로 지칭되는 20대의 ‘국민 행복도’가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경제의 미래인 젊은 층의 ‘국민 행복도’가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낮은 것은 취업난 등 상대적 박탈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전체 조사에서도 박근혜 정부 2년간 ‘더 불행해졌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반대의 경우보다 3배가량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부의 편중을 둘러싼 상대적 박탈감이 세대를 불문하고 사회 전반으로 확산된 결과로 보인다.
2일자 경향신문에 따르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7~28일 이틀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민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 ‘더 불행해졌다’는 응답은 34.6%였다. 반면 ‘더 행복해졌다’는 11.1%에 불과했다. ‘변화 없다’는 응답은 48.0%였다.
박근혜 정부가 지난 2년간 민생경제 활성화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지만 국민들의 행복도는 더 하락한 셈이다.
세대별로는 20대(19~29세)에서 ‘더 불행해졌다’는 비율이 45.4%로 가장 높았다. 각 여론조사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2030세대의 지지도가 가장 낮은 점은 감안하면, 정부가 취업난 등에 시달리는 젊은 층의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하지 않는 한 국정 지지율 제고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응답자 과반, 朴 정부 2년간 국정운영 ‘부정 평가’…차기 대선 지지도는 ‘반기문’ 1위
고학력과 고소득자일수록 ‘더 불행해졌다’고 생각했다. 전문대 재학 이상은 42.7%가 ‘더 불행해졌다’고 응답했다. 반면 ‘더 행복해졌다’는 비율은 6.8%에 불과했다. 또 월평균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 응답자의 50.7%도 ‘더 불행해졌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56.5%), 중도(42.5%), 보수(16.0%) 순으로 ‘더 불행해졌다’고 응답했다.
앞서 경향신문 1일자에 따르면 박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 여론조사 결과에선 응답자 가운데 52.7%가 지난 2년간 ‘국정운영을 못했다’고 평가했다. 여권의 지지가 높은 부산·울산·경남에서도 ‘못했다’는 47.4%로 ‘잘했다’(44.6%)보다 높았다.
2012년 대선 당시 당선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중도층도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불신이 높았다. 중도성향 응답자 가운데 63.6%는 박 대통령이 지난 2년간 ‘국정운영을 못했다’고 답했다. ‘잘했다’(31.1%)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박 대통령이 집권 2년간 ‘잘한 일이 무엇인가’라는 주관식 질문에 58.9%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지난 대선 당시 주요 공약이었던 국민통합은 ‘못하고 있다’(60.9%)가 ‘잘하고 있다’(30.6%)보다 많았다. 경제민주화도 ‘못하고 있다’(58.7%)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다.
차기 대선 주자 지지도 조사에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24.4%로 여야 대권잠룡들을 압도했다.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12.0%)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10.6%) △새누리당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5.7%)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으로, 유·무선 각각 297명과 703명을 상대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