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재판소 정당 해산 결정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옛 통합진보당(진보당)의 전직 의원들이 자신들의 국회의원 지위를 확인해 달라는 행정소송에 나선다. 이정희 옛 통합진보당 대표가 지난해 12월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지하철 3호선 안국역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정당해산 반대 민주 수호 대국민 호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남궁진웅 기자 timeid@]
진보당 대리인단 이재화 변호사는 옛 진보당의 김미희, 김재연, 오병윤, 이상규, 이석기 등 전 국회의원 5명이 6일 오후 서울행정법원에 '국회의원 지위 확인의 소'를 제기한다고 이날 밝혔다.
이들은 헌재가 진보당 해산 결정을 하면서 국회의원직 상실을 함께 결정한 데 대해 "헌재가 아무런 권한 없이 한 것이어서 무효이며, 법령상 근거가 없는 것이므로 특별한 구속력이 없다"고 미리 공개한 소장을 통해 주장했다.
또한 "1962년 우리나라 헌법 제38조에 '국회의원은 소속 정당이 해산된 때에는 그 자격이 상실된다'는 규정을 둔 적이 있지만 현행 헌법이나 법률에는 자격 상실에 대해 아무런 명문규정이 없다"며 "있던 규정을 애써 삭제한 것은 소속 정당이 해산되더라도 그 자격이 상실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헌재가 법령의 규정에 없는 것을 창설해 다른 국가기관, 특히 국민에 의하여 구성된 입법부를 통제한다는 것은 우리 헌법의 근원적인 정신인 권력분립 원칙을 근간에서부터 흔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행정소송을 제기한 전 국회의원들과 진보당 관계자들은 이날 오후 2시 양재동 서울행정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련 소장을 정식 제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