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대화 개시를 넘어서 상당한 서로의 의사 타진이 있어야만 정상회담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정상회담을 하려면 엄청난 준비가 필요하다. 장관급이든 그 위급이든 (남북이) 다 얘기를 해서 어느 정도 양측 합의가 돼야만 그것을 정상차원에서 추인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상회담을 바로 하게 되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생각은 남북 양측 다 손해고 남북관계 진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도 "정상회담 자체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과도한 기대를 걸거나 처음부터 그쪽으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정상회담을 하려면 굉장히 민감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공식접촉에서 얘기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어느 시점에 가서는 간접대화도 필요하고 조건들이 성숙돼야만 정상회담이 결실을 거둘 수 있다"고 언급, '물밑대화'의 필요성도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남북대화 제의에 북한이 아직 답이 없는 것에 대해 "분명한 것은 응답은 할 것이다. 응답을 언제 어떤 식으로 하느냐가 문제"라면서 "응답이 늦어지면 이산가족 상봉 문제에 대한 북한의 진실성이 없다고 보기 때문에 가능하면 빠르게 북한이 대응해 나오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북전단살포에 대해 "지금은 남북대화를 열어가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것을 좌절시킬 수 있는 일은 좀 자제해줬으면 좋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라며 "통준위 내에 전단뿐 아니라 다른 문제에 있어서도 남북대화 재개에 있어서 장애물이 있으면 그걸 극복해야 되지 않겠냐는 인식이 있다"고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