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통계청과 함께 온라인물가지수 작성을 위해 인터넷에서 수집한 품목별 가격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 개방했다고 14일 밝혔다.
품목별 가격변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가격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생산자는 가격 동향의 선제적 예측으로 상품 기획, 생산 및 출하 계획 수립시 대응이 원활하다. 소비자는 제품별 가격변동 추이를 파악해 상품 구입 적정시기를 확인한다. 공공분야에서는 보다 시의성 있는 물가관련 분석자료로 쓰일 전망이다.
통계청은 인터넷에서 가격을 확인할 수 있는 123개 품목의 가격데이터를 수집했다. 일자, 품목, 제품, 가격 등 중요 데이터만 남기고 불필요한 값들을 제거해 활용이 쉬운 형태로 가공했다.
개방되는 가격데이터는 품목당 1일 4000건 가량으로, 지난해에 약 1억8000만건이 수집됐다. 행자부와 통계청은 2013년 정부3.0 빅데이터 분석과제로 '온라인물가 작성시스템'을 구축, 작년 1년간 가격데이터를 모았다.
심덕섭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정부3.0 정신에 입각한 이번 공공데이터 개방으로 가격데이터의 실시간 활용이 가능해졌다. 향후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