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최근 불거진 '갤럭시노트4 대란' 의혹을 계기로 고객 유치 대가로 내주는 이통사 판매장려금의 불법 보조금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 일고 있다.
14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가입자 한 명당 30만원 수준이던 이통사의 판매장려금이 지난 9~11일 일시적으로 50만원대까지 뛴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부 유통점에서는 수익을 포기하고 고객 유치에 나서면서 갤럭시노트4가 일부 유통점에서 30만원대에 거래됐다는 의혹이 일었다.
착한텔레콤 관계자는 "지난 주말 판매자들에게 지급되는 수수료가 일부 상향돼 유통 활성화를 장려했다"며 "그러나 판매자수수료 증가가 이슈가 되면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조사에 나서자 사업자들이 다시 하향 조정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단통법 시행 후 단말기 판매량이 3분기 대비 15~20% 정도 줄면서 매출이 크게 준 유통점으로서는 고객이라도 더 유치하기위해 이통사 판매장려금을 보조금으로 돌리려는 유혹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실제 기변 가입자 보조금 증가와 대리점 및 판매점 장려금 상승 등으로 인해 이통사들의 전체 인당보조금(SAC)은 상승했다.
2013년 이통3사 평균 SAC은 21만1000원이었으나 지난해는 평균 29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결합상품인 TPS(IPTVㆍ인터넷전화ㆍ초고속인터넷)의 경우 평균 43만원에 달한다.
안재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통신사들이 단통법초기 상황과 향후 경쟁 상황이 어떻게 진행될지 예측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통신사들이 유통망들의 수익 보전 차원에서 인센티브 금액을 올렸을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나 연초라는 시기 특성상 판매장려금를 토대로 한 불법 보조금 살포가 당분간 게릴라식으로 계속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통상적으로 한 해 매출 목표를 설정한 이통사들이 연초에 물량 공세를 펴는 사례가 잦았기 때문이다. 실제 이날 KT는 '아이폰6+'로 판매를 유도하기 위해 '아이폰6+ 16GB'의 공시지원금을 종전 대비 2배가량 상향했다.
안 연구원은 "통신사 보조금이 증가하면 제조사 보조금도 같이 증가하기 때문에 통신사 부담이 덜하다"며 "리베이트 관련 이슈가 점차 해결되면 빠르면 4월 이후 단통법 개정에서 이와 관련된 이슈도 붉어질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