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1/14/20150114163346593745.jpg)
[사진=경기도청 제공]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남경필 지사는 14일 집무실에서 ‘넥스트(NEXT)경기 따복’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현장의 목소리가 관의 개입을 최소화해 달라고 요구하는 만큼 이를 수용하겠다.”며 “원하는 곳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원을 한다는 것이 따복공동체 사업의 기본 방향”이라고 말했다.
따복공동체는 따뜻하고 복된 공동체의 줄임말로 민선 6기 경기도 핵심과제 가운데 하나다.
앞서 류인권 따복공동체지원단장은 ‘따복공동체, 굿모닝 삶터 조성’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기다리고 지켜보다가 마을이 손 내밀면 최소한의 눈높이만 맞춰주면 좋겠다.”라는 현장의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도는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삶터 조성으로 정하고,올해 따복공동체 추진을 위한 체계구축 역량강화 사업시행 등 3가지 방향에 힘쓸 예정이다.
먼저 체계구축을 위해 오는 3월까지 따복공동체 조례 개정과 따복공동체위원회 구성을 마치고, 4월까지 '따복공동체 지원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지원센터는 따복공동체 사례조사 교육 사업 추진 등 전체 사업의 총괄 기능을 가진 기구로, 민간전문가에게 센터 운영을 맡기고 지원센터는 남부와 북부에 각 1곳씩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역량강화는 주민과 공무원 외부전문가 육성을 위한 것으로△주민교육과 마을계획 수립 △컨설팅 △마을 및 사회적경제 활동가 발굴육성 △민간네트워크 활성화△공무원 워크숍 △국내외 연수 등이 포함돼 있다.
도는 올해 400명 내년에 900명 등 2018년까지 3천명 규모의 따복공동체 활동가를 양성하고, 참여주민은 올해 1만 5천명에서 시작해 2018년까지 10만 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시행과 관련해 도는 1월 중으로 따복공동체 비전과 추진방향 등을 정립하고 경기연구원과 함께 5개년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코레일과 경기도교육청 31개 시·군 등 유관기관과 함께 따복공동체 협력을 위한 MOU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회복지사 처우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올해 말까지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직무역량제고와 근무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희겸 행정 2부지사,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 김인선 따복공동체 T/F 위원장, 이근호 따복공동체 T/F 위원과 관련 실·국장 등이 50여 명이 참여했다.
앞서 류인권 따복공동체지원단장은 ‘따복공동체, 굿모닝 삶터 조성’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기다리고 지켜보다가 마을이 손 내밀면 최소한의 눈높이만 맞춰주면 좋겠다.”라는 현장의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도는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삶터 조성으로 정하고,올해 따복공동체 추진을 위한 체계구축 역량강화 사업시행 등 3가지 방향에 힘쓸 예정이다.
지원센터는 따복공동체 사례조사 교육 사업 추진 등 전체 사업의 총괄 기능을 가진 기구로, 민간전문가에게 센터 운영을 맡기고 지원센터는 남부와 북부에 각 1곳씩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역량강화는 주민과 공무원 외부전문가 육성을 위한 것으로△주민교육과 마을계획 수립 △컨설팅 △마을 및 사회적경제 활동가 발굴육성 △민간네트워크 활성화△공무원 워크숍 △국내외 연수 등이 포함돼 있다.
도는 올해 400명 내년에 900명 등 2018년까지 3천명 규모의 따복공동체 활동가를 양성하고, 참여주민은 올해 1만 5천명에서 시작해 2018년까지 10만 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시행과 관련해 도는 1월 중으로 따복공동체 비전과 추진방향 등을 정립하고 경기연구원과 함께 5개년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코레일과 경기도교육청 31개 시·군 등 유관기관과 함께 따복공동체 협력을 위한 MOU를 추진할 계획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1/14/20150114164412857454.jpg)
이날 토론회에는 김희겸 행정 2부지사,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 김인선 따복공동체 T/F 위원장, 이근호 따복공동체 T/F 위원과 관련 실·국장 등이 50여 명이 참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