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는 측량 목적 및 방법에 따라 도시기준점(공공)과 지적삼각점(지적)으로 이원화됐던 측량기준점을 전국 처음 공동 활용한다고 15일 밝혔다.
건물을 짓거나 상하수도, 가스관, 통신시설 등을 땅 아래 묻을 때 정확한 위치를 알려면 측량을 해야 한다. 여기서 기준이 되는 지점이 도시기준점이다. 지적삼각점은 토지 분할을 위해 기준점이 되는 곳으로 토지 경계분쟁 방지 등에 쓰인다.
공동 활용은 기존 설치·사용됐던 지적삼각점 중 국토지리정보원의 검토를 거친 134점을 서울시 1급 도시기준점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공공측량의 기준이 되는 서울시내 1급 도시기준점은 기존 48점에서 총 182점으로 4배 가량 늘어난다.
측량기준점을 공동 활용하면 중복 투자를 방지, 약 7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서울시는 분석했다.
또 도시기준점 배치 및 밀도가 25% 이상 향상되고 하나의 도시기준점이 커버하는 영역(반경 2km→1.5km)이 한층 세밀해졌다. 이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지형·지물에 대한 정확한 측량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아울러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위치 측량으로 굴착에 따른 안전사고를 사전 예방하고, 지적도 등의 세계측지계 변환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시는 이 같이 측량기준점 공동 활용을 위해 지적삼각점 134점을 1급 도시기준점으로 성과 고시하고, 이달 16일부터 지반정보통합관리시스템(http://surveycp.seoul.go.kr)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를 실시한다.
김경서 서울시 정보기획관은 "측량기준점 공동 활용으로 시간 단축과 예산 절감 등 각종 사회경제적 효과가 예상된다"며 "향후 국토지리정보원과 긴밀하게 협력해 서울은 물론 전국적으로 공간정보 구축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