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부총리가 지난 8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관련 질문을 받고 ‘SKY 대학의 범위를 더 넓혀야 한다’, ‘상위권과 차상위권 대학 등을 그룹으로 정해 학생이 지원하는 방안’ 등의 언급을 하면서 수험생과 학부모를 오히려 혼란스럽게 했다는 지적이다.
황 장관의 이 같은 언급은 ‘뜬구름’ 잡는, 정제되지 않은 발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황 장관은 당시 “단 한번의 시험으로 일생을 변별해 3~4%만 가는 SKY 등 범위를 더 넓혀야 하고 상위권 학생을 그룹으로 정해 학생 전체와 대학이 지향하는 바를 보고 들어가 순기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어떨까 한다”며 “교육과정을 충실히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능 제도로 돌아가야 하고 대학 전부를 줄 세우고 정확하게 대입해서 맞춰 나가는 제도보다는 그룹을 지어서 학교 건학이념이나 소질, 적성에 따라 들어갈 수 있도록 심도 있는 검토를 해 대입제도를 한 차원 높이는 것이 어떨가 하는 생각이 있다”고 했다.
이처럼 부처 내에서조차 충분히 공론화되지 못한 ‘대입 지원 시 대학의 수준별 그룹화’ 등에 대한 언급이 학생과 학부모에게 혼란만 주면서 장관이 민감한 대입제도나 대학수학능력시험 관련 발언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 “방송토론회에서 장관께서 한 얘기는 현재의 평가가 너무 줄세우기를 하고 있다는 데 대해 문제 제기를 한 것”이라며 “수능 개선 방안에 대해 위원회의 발표 시 정리해서 공개하겠다고 하는데도 계속 추가 질문이 나와 생방송 중에 그런 말이 나온 것 같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