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2.1 지속가능연구소와 대학생언론협동조합 YeSS가 지난해 11월 현대리서치 등에 의뢰해 전국 130여개 대학생 23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정치인과 국회를 신뢰한다’고 답한 비율이 각각 2.6%와 4.8%로 조사항목 가운데 가장 낮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소는 매우 신뢰한다, 대체로 신뢰한다, 신뢰하는 편이다 등 적극적으로 신뢰 의사를 표시한 결과를 백분율로 환산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정치인과 국회를 적극적으로 신뢰하는 대학생이 사실상 없다는 의미다.
기업에 신뢰를 보내는 대학생 비중도 7.7%로 낮은 축에 속했다. 이는 외국인(8.3%)이나 처음 만난 사람(8.4%)에 대한 신뢰도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특히 기업의 경우 최근 ‘갑을관계’ 논란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화된 것이 낮은 신뢰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연구소는 분석했다.
가장 신뢰하는 대상은 가족(95.8%)과 친구(88.1%)가 압도적으로 높아 신뢰도 1, 2순위를 차지했다. 이들을 제외하면 국제기구(38.1%)가 다음으로 높은 신뢰도를 차지했고 병원(33.3%), 학교(26.6%), 법원(20.7%), 시민단체(19.4%)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신문(17.3%), 라디오(17.2%), TV(14.0%) 등 대중매체 신뢰도가 뒤를 이었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믿는다는 응답은 7.6%로 낮았다. 검찰(12.9%)과 경찰(15.5%) 중에서는 경찰 쪽에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를 보내 눈길을 끌었다.
김 부소장은 “신뢰도가 50%를 넘는 대상이 가족, 친구 외에 없다는 사실은 한국사회의 사회적 자본이 그만큼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며 “이는 가족·친구를 제외하면 적극적으로 믿는 상대가 거의 없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같은 대상을 상대로 한 대학생 행복도 설문조사에서는 대학생의 행복감이 2년 전보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