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국 경제 성장에 대해 가장 낙관적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정부가 전망하는 한국 경제성장률이 가장 낙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외국인(해외 IB), 한국은행 순이었다.

1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정부, 중앙은행(한국은행), 외국인의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가운데 정부의 눈높이가 가장 높았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12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3.8%가 될 것으로 전망했고 여전히 성장률 전망치를 현 수준으로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한국은행은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9%에서 3.4%로 대폭 하향 조정해 올해 경제 성장에 대해 비교적 보수적인 견해로 돌아섰다.

외국 금융기관들이 내다보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정부와 한국은행의 중간 수준이다. 해외 IB 10곳이 제시한 성장률 전망치 평균값은 3.6%다.

10개 해외 IB는 바클레이즈·BNP파리바·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씨티·도이치방크·골드만삭스·노무라·JP모건·모건스탠리·UBS 등이다.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최근 일부 IB가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서 주요 아시아 10개국 중 유일하게 한국의 평균 성장률 전망치만 높아졌다는 점이다.

12월 말 기준으로 BNP파리바(3.3%)와 UBS(3.1%)가 기존보다 상향 조정된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으면서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값이 전월보다 0.1%포인트 올랐다.

반면 이들은 말레이시아(5.1→4.9%), 필리핀(6.2→6.1%), 싱가포르(3.0→2.9%)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전월 대비 하향 조정했다.

모건스탠리는 "저유가가 지속되며 대규모 원유 수입국인 한국의 교역조건과 경상수지가 개선돼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