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1/19/20150119092839211799.jpg)
[사진=극지연구소 제공]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극지연구소는 인천에 위치한 극지연구소 내에 극지 인프라 및 남·북극 현장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극지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우리나라는 극지연구소를 중심으로 남극에 2개 기지(세종, 장보고), 북극에 1개 기지(다산) 등 남·북극에 총 3개의 기지를 운영 중이다.
또 남극과 북극을 오가며 연구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까지 극지 인프라가 최근 비약적으로 성장해왔다.
이러한 성장에 따라 잠재적인 위험 요소도 증가된 만큼 국내에서 이들을 종합적으로 조정, 통제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이에 따라 극지종합상황실 설치가 추진된 것이다.
극지종합상황실에서는 폐쇄화면(CCTV)을 통해 남·북극 기지와 아라온호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할 뿐 아니라 위성추적기로 야외 현장 활동 인력에 대한 위치와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이와 함께 위성통신을 활용해 아라온호와 헬기의 실시간 위치와 기상 현황까지 파악할 수 있어 극지 현장과 국내에서 동시에 의사 결정과 실행이 수월하다.
위기 상황 발생시 현장을 통합한 비상상황실 체제로 전환, 현장과의 화상 연결을 통해 즉각적인 위기 대응 시간도 줄었다.
극지연구소는 가까운 타국 선박 및 항공기를 파악해 국제적인 지원 요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함으로써 인명과 시설 보호에 대한 대처 능력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극지연구소 관계자는 “이번에 설치된 극지종합상황실은 우리나라의 첨단 IT 기술이 적용된 선진화된 극지운영시스템”이라며 “효율적인 극지인프라 운영 뿐 아니라 극지 현장 활동 인력에 대한 안전성도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