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1/26/20150126110031929994.jpg)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행정중심복합도시에 '임대형 공동캠퍼스' 건립이 추진된다. 복수의 대학이 교육·지원시설 등을 공동 활용하고,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는 방식이다. 자족시설 확충을 위한 범정부 협의체(가칭 투자유치협의회)도 구성된다.
국토교통부와 행복도시건설청은 토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15년 행복도시 업무추진 방향 및 자족성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고 26일 밝혔다. 행복도시는 올해 1단계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는 지난해 말 중앙행정기관이 행복도시로 이전을 완료한 후, 지속적으로 도시 성장을 견인할 동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판단에서 마련됐다. 도시 성장 동력 다변화와 양질의 도시 인프라 확충, 도시 품격 제고 등을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대학 조기 유치 및 행복도시 내 공동 캠퍼스 건립을 위한 전략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정부는 행복도시의 신성장 엔진으로 산학연 클러스터 조성을 꼽고 있다.
그간 행복청은 카이스트(KAIST)·고려대·한밭대·공주대·충남대 등 5개 대학과 행복도시 내 캠퍼스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외국 명문 대학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에 있다.
고려대는 지난해 7월 약대 이전을 위한 교육부 승인을 완료하고, 행복도시에 조성할 캠퍼스 면적 및 위치 등을 협의 중이다. 카이스트의 경우 지난달 미래창조과학부에 융합의과학대학원 설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을 신청한 상태다.
정부는 대학 유치의 시급성을 고려해 행·재정적으로 자력 입주가 가능한 대학에 대해 우선적으로 토지를 공급할 방침이다. 다만 독립 캠퍼스 건립이 어려운 국내·외 대학에는 '임대형 공동캠퍼스' 건립을 대안으로 제시하기로 했다.
임대형 공동캠퍼스는 복수의 대학이 교육시설, 지원시설(운동장, 기숙사 등)을 공동 활용하고, 교육연구와 산학협력프로그램을 협력하여 운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공공 또는 민간 주도 건립이 가능토록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기재부, 총리실 등을 포함한 범정부 협의체(가칭 투자유치협의회)를 구성해 공동캠퍼스 건립 등 자족시설 확충을 지원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