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그린란드 정착민과 국내 소상인의 평행이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1-27 14: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 =그린란드(Greenland)는 북위 72도에 위치한 동토의 땅이다. 전 국토의 84%가 얼음으로 덮여 있고, 전 국토에서 초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1%에 불과하다.

이처럼 척박한 자연환경에도 불구, 그 이름이 '신록(新綠)의 땅'이 된 것은 한 사람 때문이다.

982년 살인죄로 아이슬란드에서 추방된 바이킹인 일명 '붉은 수염 에리크'는 항해를 거듭하다 현재의 그린란드에 도착했다. 

그곳은 춥고 황량하기 그지없는 불모의 땅이었지만, 에리크는 꾀를 냈다. 아이슬란드로 돌아가 서쪽으로 가면 넓은 초목이 펼쳐져 있는 비옥하고 따뜻한 땅이 있다며 이주민을 모았다. 그리고 4년 뒤 25척의 배에 나눠탄 1000여명의 이주민들이 희망을 안고 그린란드로 출발했다.

이주민들은 각각 두 곳의 정착지에서 어렵게 생활을 이어갔다. 초창기에는 목장도 운영하고 로마의 주교구 조직에 편입돼 그린란드 주교가 임명될 정도로 고군분투하며 자신들만의 생활을 영위해 나갔다. 이는 400년이 넘게 이어졌다.

하지만 이내 시련이 닥쳤다. 15세기 유럽에 소빙하기가 닥치면서 제반환경이 극도로 악화됐다.

더 큰 문제는 각종 내홍과 지도층의 무책임이었다.

그린란드에서는 경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목장과 땅을 지배계급이 독식했고, 근시안적 이익추구와 사회구성원간 갈등이 야기됐다. 결국 그린란드의 서쪽과 동쪽 정착지는 모두 붕괴됐다. 

현재 국내 소상인의 처지도 그린란드 정착민과 크게 다르지 않다.

IMF 이후 명퇴자가 넘쳐나면서 많은 이들이 자영업에 투신했다. 정부는 갖가지 자영업 활성화 대책을 내놓으며 황금빛 미래가 있는 양 이야기했지만, 채 20년이 지나지 않아 국내 소상공인은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급기야 최근에는 공공기관의 방만 경영을 근절한다며 치킨집이나 생맥주집 등에서 법인카드 사용까지 금지시켰다.

물론 정부탓만 할 수는 없다. 급변하는 환경은 당사자가 감내해야 할 문제일 수 있다. 하지만 소상인들의 처지를 목도하면서도 여전히 실질적인 정책입안은커녕 수수방관만 하고 있는 정부는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는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