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지지율 추락…여권, 쓴소리 뱉으며 ’자중지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1-29 11: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연일 추락하자,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연초 기자회견 이후로도 여전히 국민들로부터 소통 부재와 함께 인적 쇄신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으며 지지율이 떨어지자,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를 전격 기용하며 인적 쇄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그래픽=아주경제]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연일 추락,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연초 기자회견 이후로도 여전히 국민들로부터 소통 부재와 함께 인적 쇄신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으며 지지율이 떨어지자,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를 전격 기용하며 인적 쇄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럼에도 최근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레임덕 마지노선'인 30%로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추락하자,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추락할 대로 추락한 지지율 흐름이 'L자형' 장기 정체를 보일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는 느낌이다.

이제 집권 3년차를 맞은 박근혜 정부가 이 같은 지지율 하락으로 당초 계획했던 국정과제 동력마저 상실할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여당 지도부들은 한편으론 지지율 상승을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면서도 연말정산 논란을 기점으로 ‘청와대와 일정한 거리두기'를 하며 연일 쓴소리를 이어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친박 대 비박 간 당내 계파갈등이 한층 가열돼 여권 내 자중지란(自中之亂)이 심해질 것이란 우려감도 커지고 있다. 

김무성 대표는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국정 지지율이 하락해 국정운영의 추진 동력이 약해지면 대한민국 전체를 위해서 결코 좋지 않은 일"이라며 "지지율 하락은 누군가 반사이익을 얻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새누리당은 당청이 한몸이란 자세에서 더 막중한 부채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정부의 1%대 저금리 수익공유형 주택대출 도입에 대해서도 "좋은 정책 아이디어도 탄탄한 재정적 뒷받침과 미래 예측성이 없으면 결국 문제가 되고 그 피해는 국민 몫이 된다"며 우려를 표했다.

김 대표는 전날에도 정부의 비과세소득을 과세소득으로 전환하는 세제개편안에 대해서도 "증세를 마치 전가의 보도처럼 인식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고 비판한 데 이어 이틀째 정부 정책에 쓴소리를 이어갔다.

김태호 최고위원도 이날 회의에서 정부의 건강보험료 개편 철회와 주민세·자동차세 입장 번복 등을 언급, "신중해야 할 정부의 정책이 조령모개식으로 하루 아침에 뒤바뀌는 일이 자꾸 일어난다"며 "정부가 이처럼 오락가락 하면 올해 목표로 하는 개혁과제들을 과연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시는 정부 정책이 국민에게 혼란을 주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는 각성해야 한다"며 "정부와 청와대는 앞으로 눈과 귀를 열고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도 말했다.

특히 당내 비주류뿐 아니라 친박 주류 측에서도 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에 따른 국정동력 상실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친박 중진은 "(정부나 여당이나) 많이 노력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경제가 어려운 데다 여러 가지 개혁이라고 던진 화두들이 국민에게 피로감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중진은 "먹고사는 게 어렵고 경제뿐 아니라 국정 전반에 걸쳐 국민에게 나아질 것이란 기대도 주지 못하는 게 지지율 하락의 원인"이라며 "현재 통치 방식을 고수할 경우 지지율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