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LG전자, 모바일 성장세 4분기도 이어가… 전체 실적 견인(종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1-29 14:3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 LG전자는 3분기 모바일 성장세가 4분기에도 지속돼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LG전자는 지난 4분기 연결매출 15조 2721억 원, 연결영업이익 2751억 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휴대폰 사업 성장 등에 힘입어 매출액은 5%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8% 증가했다.

전분기에 비해서는 TV시장 성수기 진입 등의 영향으로 매출액은 4% 증가했으나 시장경쟁 심화, 환율 영향 등으로 영업이익은 41% 하락했다.

연간 매출액은 59조 408억 원으로 2013년 대비 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13년 대비 46% 증가한 1조 8286억 원을 기록했다.

◆4분기 사업본부 실적

HE사업본부는 매출액 5조 4270억 원, 영업이익 17억 원을 거뒀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5조 4305억 원)와 유사한 수준이다. TV시장의 계절적 성수기 진입으로 전 분기 대비는 매출액이 20% 증가했다.

성수기 가격경쟁 심화와 신흥시장 통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전 분기 대비 하락했다.

MC사업본부는 매출액 3조 7831억 원, 영업이익 674억 원이다.

MC사업본부는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이후 3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프리미엄 및 중저가 시장을 적극 공략해 4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판매량(2013년 4분기 1320만대)대비 18% 증가한 1560만대를 기록했다.

경쟁심화로 인한 판가하락, 한국시장 수요 침체 등의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HA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 8803억 원, 영업이익 850억 원이다.

HA사업본부는 선진시장 경쟁심화에도 불구하고 유럽, 중국 등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본부 매출액이 전년 동기(2조 8389억 원) 및 전 분기(2조 9115억 원)와 유사한 수준을 달성했다.

시장경쟁 심화에도 비용구조 개선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64%,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

AE사업본부는 매출액 7814억 원, 영업이익 36억 원이다.

AE사업본부의 매출액은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16% 감소했으나, 시스템 에어컨 사업의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9%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시스템 에어컨 매출 호조와 원가 경쟁력 강화로 전 분기 영업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

◆2014년 연간 실적

LG전자는 지난해 연간 매출액 59조 408억 원, 영업이익 1조 8286억 원을 기록했다.

HE사업본부는 TV사업의 견조한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매출액(1%)과 영업이익(31%)이 모두 증가했다.

MC사업본부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마케팅 투자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해 전년 대비 매출액은 16%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4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스마트폰 판매량은 2013년도 판매량(4760만대) 대비 24% 증가한 5910만대를 기록, 스마트폰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10년 이후 최대 실적을 거두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HA사업본부는 시장 경쟁심화와 환율 영향 등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AE사업본부는 상업용에어컨은 지속 성장했으나 국내 가정용에어컨 시장 침체 등의 영향으로 본부 매출 및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2015년 사업 전망

LG전자는 프리미엄 TV 시장 및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한 B2B시장이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HE사업본부는 올레드 TV, 울트라HD TV, 웹OS 2.0 탑재 스마트 TV 등 시장선도 제품을 중심으로 성장 모멘텀을 강화하고 수익성을 지속 개선할 계획이다.

휴대폰 시장은 LTE 시장을 주축으로 지속 성장하나 제조사간 시장 점유율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MC사업본부는 시장선도 제품과 브랜드력 강화로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수익성도 지속 개선할 방침이다. 

생활가전 및 에어컨 시장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수요 회복이 제한적이나 에너지 효율 규제 강화에 따른 고효율 제품 수요 증대 등의 기회 요인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HA사업본부는 고효율 및 지역특화 제품을 확대하고 원가 경쟁력을 강화키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