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지자체로는 전국최초 가축위생연구소 "AI 정밀진단기관" 지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2-12 10: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 확진 판정 전 빠른 초동대응 가능해져 -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충남가축위생연구소는 12일 전국 지자체로서는 최초로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조류인플루엔자(AI) 정밀진단기관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AI 의심 신고 시 검역본부의 확진 판정 이전에 예방적 살처분 등 전염병 확산을 차단시키는 신속한 초동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 가축위생연구소는 지난해 전국적으로 AI가 확산되고 중앙의 최종 결과 판정이 늦어짐에 따라 신속한 방역조치를 취하지 못해 질병 전파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검역본부의 확진 권한을 이양받기 위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개진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지정은 지난해 12월 9일 정밀진단기관을 신청한 이래 서류 검토, 현장 실사, 정밀 진단 교육 및 능력 검증 과정을 거쳐 불과 2달여 만에 거둔 성과다.

 도 가축위생연구소는 이번 지정을 목표로 최근 조류인플루엔자 진단 팀을 신설하고 전문 인력을 추가 확충해 자체적인 방역 역량을 강화해 왔다.

 이에 따라 앞으로 도내 AI 의심축 발생 시 시료 채취부터 정밀 검사까지 당일 내 처리를 통한 효율적인 초동 방역조치가 가능해진 것은 물론, 기존 농림축산검역본부 정밀검사 의뢰 시 장거리 시료 송부로 AI 바이러스 외부 유출에 의한 전파 위험 등의 문제가 해결될 전망이다.

 오형수 소장은 “충남도는 이미 2013년 6월 구제역 정밀진단기관으로 지정받아 현재 구제역 발생 상황에서 그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라며 “전국 최초로 지정받은 AI 정밀진단기관인 만큼 우리 연구소가 전국 제일의 방역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도 가축위생연구소는 도 주도의 자주적 방역 기능 강화 및 정밀진단기관 지정을 위해 고위험 바이러스를 외부 유출 없이 검사 가능한 생물안전 3등급(BL-3) 시설을 추가 신축해 AI와 구제역 정밀 실험실을 분리한 바 있다.

 또 중앙 수준으로의 진단 능력 획득을 위해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장비, 핵산추출장비 등 정밀 검사 장비를 확보하고 이와 더불어 전문 인력에 대한 교육 이수, 정도 검사 합격, 현지 실사 등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