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AI 의심 신고 시 검역본부의 확진 판정 이전에 예방적 살처분 등 전염병 확산을 차단시키는 신속한 초동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 가축위생연구소는 지난해 전국적으로 AI가 확산되고 중앙의 최종 결과 판정이 늦어짐에 따라 신속한 방역조치를 취하지 못해 질병 전파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검역본부의 확진 권한을 이양받기 위해 지속적으로 의견을 개진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지정은 지난해 12월 9일 정밀진단기관을 신청한 이래 서류 검토, 현장 실사, 정밀 진단 교육 및 능력 검증 과정을 거쳐 불과 2달여 만에 거둔 성과다.
이에 따라 앞으로 도내 AI 의심축 발생 시 시료 채취부터 정밀 검사까지 당일 내 처리를 통한 효율적인 초동 방역조치가 가능해진 것은 물론, 기존 농림축산검역본부 정밀검사 의뢰 시 장거리 시료 송부로 AI 바이러스 외부 유출에 의한 전파 위험 등의 문제가 해결될 전망이다.
오형수 소장은 “충남도는 이미 2013년 6월 구제역 정밀진단기관으로 지정받아 현재 구제역 발생 상황에서 그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라며 “전국 최초로 지정받은 AI 정밀진단기관인 만큼 우리 연구소가 전국 제일의 방역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출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도 가축위생연구소는 도 주도의 자주적 방역 기능 강화 및 정밀진단기관 지정을 위해 고위험 바이러스를 외부 유출 없이 검사 가능한 생물안전 3등급(BL-3) 시설을 추가 신축해 AI와 구제역 정밀 실험실을 분리한 바 있다.
또 중앙 수준으로의 진단 능력 획득을 위해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장비, 핵산추출장비 등 정밀 검사 장비를 확보하고 이와 더불어 전문 인력에 대한 교육 이수, 정도 검사 합격, 현지 실사 등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