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7일 기준금리를 연 2.0%로 동결한 것은 지금의 금리 수준이 경제 성장세를 지원하기에 부족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해 8월과 10월 두번에 걸쳐 단행한 금리 인하의 효과를 살피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 결정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거시경제의 상·하방 위험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가계부채의 높은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도 금리 동결의 배경"이라고 말했다.
가계부채는 작년 1∼7월만 해도 월평균 3조4000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작년 8월 초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를 기점으로 증가 속도가 두 배로 빨라졌다. 작년 8∼11월 가계대출은 월평균 6조8000억원 늘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여전히 기준금리를 내려 부진한 경기부터 살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특히 최근 아시아국가들이 적극적으로 통화완화 정책을 펼치고 있어 한은 역시 이 대열에 합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들어 유럽중앙은행(ECB)이 미국 방식의 양적완화를 선언하자 스위스·인도·페루·이집트·덴마크·터키·캐나다·러시아가 금리를 낮췄다.
이같은 통화완화 정책은 아시아까지 번졌다. 싱가포르가 자국 화폐 가치의 절상을 늦추는 방식으로 통화완화 대열에 합류한 데 이어 중국은 2012년 이후 처음으로 지급준비율을 낮췄다.
그러나 이주열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각국이 침체된 경기 회복세를 높이고 디플레이션 압력을 방지하려고 통화완화 정책을 쓴 결과 환율이 영향을 받는 것"이라며 "이를 '환율전쟁'으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