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2/20/20150220174816551485.jpg)
[사진=LG생명과학 제공]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우리나라 국민의 40% 이상이 식이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질병관리본부의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세 이상 성인 남녀 중 44.0%가 최근 1년 동안 2주 이상 지속해서 식이보충제를 복용했다고 응답했다. 10명중 4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식이보충제는 비타민제, 무기질제, 홍삼 등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해 영양을 보충하기 위해 복용하는 제품으로, 한약은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다.
식이보충제 복용률은 2005년 25.8%에서 2008년 34.1%, 2011년 39.8% 등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8년새 1.7배 가량 늘어난 것이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식이보충제 복용률도 높았다.
소득수준 상층은 절반에 가까운 48.7%가 식이보충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중상층은 48.3%, 중하층은 43.2%, 하층은 36.0%만이 식이보충제를 이용했다.
연령별 차이도 나타났다. 남성이 41.0%, 여성이 47.0%로 여성의 복용률이 더 높았다.
연령별로는 남성의 경우 3∼5세에서 61.1%로 가장 복용률이 높은 반면, 여성은 50∼64세가 61.3%로 가장 높았다. 남녀 모두 12∼29세 젊은 층을 비롯한 모든 연령대에서 40% 이상이 식이보충제를 복용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