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한반도 기온 상승률이 지구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연평균 기온과 해수면 상승이 관측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인위적인 온실가스 증가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기상청은 우리나라에 대한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 영향, 적응 등과 관련한 연구결과를 정리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를 공동으로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평가보고서에는 한반도를 대상으로 2014년까지 발표된 총 2500여편의 국내·외 논문과 보고서 연구결과를 분석·평가해 한국 기후변화 연구동향과 전망을 집대성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반도의 기후변화는 온실가스 증가에 의한 인위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화석연료 연소와 토지이용 변화로 인해 이산화탄소 방출이 증가하고 관측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도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은 1954년부터 1999년에는 0.23℃/10년, 1981년부터 2010년에는 0.41℃/10년, 2001년부터 2010년에는 0.5℃/10년으로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또 우리나라 주변 해양에서 수온과 해수면 상승률은 전지구 평균인 0.85℃, 1.4mm/년보다 약 2∼3배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해 생태계 분포와 종 변화, 식량생산 저하, 질병발생 및 사망자 증가, 지역별·산업별 갈등 증가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에 의한 서울 지역 사망자를 전망한 결과 현재 대비(2001∼2010년) 미래(2036∼2040년)에 인구 10만명당 0.7명에서 1.5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가 예상된다. 이 밖에 부산(해운대구)지역의 경우 해수면이 1m 상승할 경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약 3963억원으로 추정됐다.
한편 이번 보고서 작성에는 세부 분야별 전문가 155명이 참여했으며 기후변화 과학적 근거, 영향, 적응 등의 분야로 구성됐다.
보고서는 지난 2011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발간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0’ 이후 2010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각 분야별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연구결과 신뢰도를 견고한 동의, 중간적 동의, 제한적 동의 등 3단계로 평가해 제시했다.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분야는 수자원, 생태계, 산림, 농업, 해양 및 수산, 산업 및 에너지 등 9개로 구분하여 분야별로 관측된 영향, 전망, 원인, 적응전략 등을 다뤘다.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정책과 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각 분야별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정은해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장은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더라도 누적된 온실가스 영향으로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은 지속될 전망”이라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이행가능 한 적응 실천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