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5일(이하 현지시간) 역내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한 ‘에너지동맹’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우크라이나 문제로 대립하는 러시아로부터의 천연가스와 원유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EU가 ‘에너지동맹’ 설립을 통해 에너지 시장 통합과 에너지 자원 수입처 다양화를 노리고 있으나 효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26일 보도했다.
EU 집행위원회에 따르면 EU의 에너지 자급률은 50%로 수입 규모는 연간 4000억 유로(약 50조원)에 달한다. 특히 천연가스는 동유럽 지역 국가의 러시아 의존도가 100%다. EU는 우크라이나 포로셴코 정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에너지 측면에서는 ‘탈 러시아화’를 서두른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5일 마로스 세프코비치 EU 집행위 부위원장 겸 에너지동맹 담당 집행위원이 기자회견에서 “1951년 유럽석탄철강공동체 이후 가장 야심찬 에너지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이 계획은 EU 에너지 시장을 통합하고 에너지 독립을 촉진하며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향후 EU회원국의 에너지 담당 장관과 환경장관이 모여 구체적인 내용을 협의한 후 3월19일~20일에 개최될 정상회의에 보고한다.
EU 에너지동맹 설립계획에 따르면 에너지 종류와 공급처, 공급 경로 등의 다양화를 이룩하는 것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천연가스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아제르바이잔 등의 가스를 염두에 두고 중앙아시아로부터의 수입을 시야에 둔 파이프라인 계획을 강화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또 북유럽 지역의 다양한 공급처의 액화가스 기지 건설이 포함됐다. 장 클로드 융커 EU집행위원장은 인프라 정비를 위해 3150억 유로 규모의 민관투자기금을 활용할 방침을 밝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EU가 현재 교섭 중인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를 통해 미국 셰일가스의 수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유럽 역내에서 에너지를 서로 융통하는 시스템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EU는 현재 2020년까지 전력생산능력의 10%를 융통하는 체제를 구축할 계획을 세웠으나, EU집행위는 2030년까지 15%로 확대할 목표를 설정했다. EU 국가간 가스 및 전력 공급망을 연결하면 가계와 기업이 연간 에너지 비용 400억 유로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번 에너지동맹 설립 계획에는 에너지 절약 강화와 재생 에너지 도입 촉진 등도 포함됐다. 에너지 소비를 1% 줄이면 천연가스 수입량을 2.6% 줄일 수 있을 것을 추산되고 있다. EU는 2030년까지 에너지 효율을 당초 예상보다 27% 향상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