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 삼성전자가 6년만에 직원 임금을 동결했다.
지난해 모바일 등 실적 악화로 허리끈을 졸라 매고 있는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인다.
2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노사협의회에서 올해 연봉을 인상하지 않고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삼성전자가 임직원 임금을 동결한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처음이다.
회사측은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후발기업의 성장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증대하는 등 위기 상황을 고려해 이번 결정에 노사가 의견을 일치시켰다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그룹도 2000여명의 전 계열사 임원의 급여에 대해 연간 실적에 따라 지급하는 성과인센티브(OPI)를 제외하고 동결한 바 있다.
삼성그룹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에도 직원 임금을 동결했었다. 당시 노사협의회는 임금 동결과 함께 특별성과급인 PS(초과이익분배금)을 연봉의 50%에서 30%로, 임직원의 개인성과급인 PI(생산성격려금)는 기본급의 최대 300%에서 200%로 삭감했었다.
이후 삼성전자의 기본급 인상률은 2011년과 2012년 4%, 2013년 5.5% 정도였다. 지난해에는 사상최대 실적에도 기본급 인상률이 1.9%에 그쳤었다. 비연봉제 직원은 정기상여금을, 연봉제 직원은 성과급 중 전환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지난해 모바일 등 실적 악화로 허리끈을 졸라 매고 있는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인다.
2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노사협의회에서 올해 연봉을 인상하지 않고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삼성전자가 임직원 임금을 동결한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처음이다.
회사측은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후발기업의 성장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증대하는 등 위기 상황을 고려해 이번 결정에 노사가 의견을 일치시켰다고 설명했다.
삼성그룹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에도 직원 임금을 동결했었다. 당시 노사협의회는 임금 동결과 함께 특별성과급인 PS(초과이익분배금)을 연봉의 50%에서 30%로, 임직원의 개인성과급인 PI(생산성격려금)는 기본급의 최대 300%에서 200%로 삭감했었다.
이후 삼성전자의 기본급 인상률은 2011년과 2012년 4%, 2013년 5.5% 정도였다. 지난해에는 사상최대 실적에도 기본급 인상률이 1.9%에 그쳤었다. 비연봉제 직원은 정기상여금을, 연봉제 직원은 성과급 중 전환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