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유태영 기자 =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기가 2년째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저출산 현상이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4년 출생·사망통계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3만5300명으로, 전년(43만6500명)보다 1200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70년 이래 2005년(43만5000명)에 이어 두 번째로 적다. 출생아 수는 2010년에서 2012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년 연속 감소했다.
조 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지난해 8.6명으로 지난해와 같다. 통계 작성 이래 2년 연속 역대 최저치다.
또 합계출산율(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지난해 1.21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느는 데 그쳤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05년 1.08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하고서 2011년 1.24명, 2012년 1.30명으로 회복하다 2013년 초저출산 기준 아래인 1.19명으로 떨어졌다. 초저출산의 기준선은 1.30명이다.
출생 여아 100명당 남아 수인 성비는 105.3명으로, 지난해와 비슷했다. 통상적으로 103∼107명이면 정상적인 성비로 판단한다.
한편 지난해 12월 출생아 수는 3만27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