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짝퉁논란에 지난 넉달새 시총 1000억 달러 가량이 증발한 알리바바가 이번에는 대만 시장 퇴출 위기에 직면했다.
북경신보(北京晨報)는 대만 경제부 산하 투자위원회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에 대해 3800달러의 벌금과 필요 서류 미제출시 6개월내 퇴출 명령을 내렸다고 4일 전했다. 대만 당국은 퇴출 카드를 꺼내든 이유에 대해 알리바바가 중국 본토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대만 진출 당시 싱가포르 법인으로 등록한 점을 들었다.
이에 알리바바 측은 "우리는 대만법을 어기지 않았다"면서 "당국과의 소통과 논의를 통해 해결점을 찾겠다"고 밝혔다.
알리바바가 대만 시장에 진출한 2008년 중국 기업의 대만 직접 투자는 엄격히 제한을 받았다. 중국 기업이 대만 시장에 진입하려면 당국에 회사 지배구조 등 중국 내 모회사 관련 자료제출이 필수다. 하지만 알리바바가 싱가포르 법인으로 등록해 관련 규제를 피하려했다는 것이 대만 당국의 입장이다. 또한 지난 9월 글로벌 이슈가 됐던 알리바바의 뉴욕거래소 안착 후 알리바바의 자회사인 싱가포르 법인을 중국 기업으로 판단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에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은 3일 바로 대만을 찾아 '급한 불끄기'에 나섰다. 마 회장은 3일 오후 열린 대만대학, 대만사범대학, 대만과학기술대학 등 재학생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사실 알리바바가 본토기업인지 외자기업인지 우리도 헷갈릴 정도"라며 "글로벌화 등 세계 경제의 변화에 따라 기업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고 해명했다.
마 회장은 "중국에서는 알리바바를 외자기업에 분류하고 미국 상무부는 알리바바가 중국 기업임을 강조한다"며 "이번에 대만까지 알리바바는 중국 기업이라고 하니 점점 더 모르겠다, 세상이 너무 빨리 변하고 있다"고 한탄했다. 마 회장의 발언에는 싱가포르 법인이 아니더라도 알리바바를 중국 기업으로 규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 담겨있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은 지난달 15일 '2014년 중국 글로벌 유동성 통계 관리감독보고서'를 통해 "알리바바는 중국 본토 기업 중 해외거래소 상장사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알리바바가 중국 기업이 아님을 명시했다.
알리바바는 실체는 중국 기업이지만 외형은 외자기업의 형태를 띠고 있다. 대부분의 지분을 외국투자자가 보유하고 있고 있기 때문이다. 알리바바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최대주주는 지분 32.4%를 보유한 일본의 소프트뱅크다. 그 다음은 야후로 약 16.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마윈 알리바바 회장은 8.8%, 공동창업자 등 경영진의 지분 비율은 14.6%에 불과하다.
외부 자본을 유치해 시장 트렌드에 빠르게 적응하는 것이 성공 키워드인 IT 기업에게 중국의 경영환경은 여전히 척박하다. 중국 증시 상장(IPO)의 문턱이 높을 뿐 아니라 투자 유치도 어렵다. 결국 알리바바는 물론 바이두(百度), 텐센트(騰訊) 등 중국 IT 기업은 해외자본 유치로 승부수를 띄우게 된 것이다.
하지만 투자 유치와 함께 경영권을 뺏길 수는 없었다. 중국 시장환경과 이 같은 이해관계 등이 얽히면서 지분보유 상황과 상관없이 중국 내 실제 사업법인과 경영권을 회장을 비롯한 창업자들이 장악하는 '특이한 지배구조'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이것이 알리바바가 중국 기업이면서 외자기업일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알리바바가 홍콩이 아닌 뉴욕을 상장의 무대로 택한 것도 이와 연관이 있다. 홍콩은 특이한 지배구조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고 뉴욕 증권거래소는 이를 인정했다. 뉴욕거래소에 상장된 알리바바의 실체도 면세지역인 케이맨제도에 세운 지주회사이자 페이퍼컴퍼니인 '알리바바그룹 홀딩스'로 이 회사가 중국 내 회사를 자회사로 편입하는 형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