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가 누구인지조차 알기 힘든 '깜깜이 선거'에다 농어촌 지역 특성상 거동이 불편한 고령의 조합원이 다수지만, 많은 투표소가 건물 2층 이상에 설치됐기 때문이다.
8일 경북·대구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경북지역은 투표소 271곳 가운데 120곳이 2층 이상에, 대구지역은 21곳 가운데 18곳이 2층 이상에 설치됐다.
경북 영천지역 조합원 김모씨(84·여)는 "평소 길 가는 데는 어려움이 없지만 무릎이 좋지 않아 계단을 오르기는 엄두도 안 난다"며 "투표를 하라는 건지 말라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고 불평했다.
불만이 잇따르자 경북도선관위는 부랴부랴 1층에 임시기표소를 설치하는 한편, 승강기가 없는 2층 이상 투표소에 도우미를 2명씩 배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다.
한편 이번 선거는 비리의 온상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조합장 선출을 선관위에서 관리하고 전국적으로 동시에 치르는 첫 선거여서 공명선거문화 정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됐다. 반면, 사무실, 가족선거운동원 도움, 현수막이 금지되는 등 지나치게 규제가 심해 후보자가 자신을 알릴 방법이 극히 제한돼 있다.
현직 조합장은 조합원 명단과 인적사항을 알고 있으나 다른 후보들은 이를 파악하기 어렵고, 유권자는 후보자를 제대로 알 수 없어 깜깜이 선거라는 지적을 받아 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