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금융허브화' 전략 마련 시급

  • 송성환 도의원, 금융기관 유치 및 관련조례 제정 등 필요

아주경제 최규온 기자 =연간 자산운용액이 446조원에 이르는 국민연금관리공단 기금운용본부 전북 이전을 앞두고 전북도 차원에서 금융기관 유치 및 관련조례 제정 등 ‘금융허브화’ 전략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간 전북은 지역은행인 JB전북은행과 시중은행들이 별다른 경쟁 없이 공생해왔다. 그러나 내년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전북 이전이 이뤄질 경우 사정은 전혀 달라진다. 전북이 일약 국내 금융가의 블루칩으로 부상하면서 금융환경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 공통된 시각이다. 수많은 자산운용사, 종합증권사, 국공채, 부동산펀드, 주식파생 등 전문화된 금융투자회사들의 집결이 필수적으로 뒤따르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세계 3대 금융기관으로 꼽힐 만큼 거대한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이미 각 은행들은 자산운용사 등 자회사 설립을 위해 기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전북이 금융특화도시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금융산업 발전방안이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인프라 구축 없이 기금운용본부만 이전됐을 경우 사실상 전북은 무늬만 금융특화도시인 속빈강정으로 전락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전북도의회 송성환 의원(전주3)은 지난 6일 제319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기금운용본부는 국민연금 500조원에 가까운 적립금을 운용하는 기구로 전북도가 기업 1000개를 유치하는 것보다 파급 효과가 크다”면서 도 집행부의 신속한 행·재정적 대응을 주문했다.

송 의원은 “금융투자협회에 등록된 국내외 투자자문사는 138개, 자산운용사 82개, 증권사 63개, 신탁업체 11개 등 모두 300여개”라며 “이 중 기금본부와 거래하는 금융기관만 280개로 기금본부 전북 이전이 본격화 하면 연관된 금융기관 및 업체 등 500여 곳도 함께 이전 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라고 설명했다.

송 의원은 특히 “세종시에 기금운용 의사 결정기관인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가 이전하고 전북으로 국민연금공단 본사와 국민연금연구원이 이전하면 전북은 JB금융지주와 함께 전북의 금융허브화는 더욱 견고해 질 것”이라며 “전북도가 전문 인력양성 및 도내 유망기업 상장 활성화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 등 금융허브화 제도 기반을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이어 “기금운용본부는 전북을 금융허브 도시로 성장시킬 것”이라며 “기금본부를 비롯한 혁신도시 입주기관을 위해 교통, 보육, 교육, 문화 등 정주여건 조성 등 쾌적하고 질 높은 환경조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송하진 도지사는“기금운용본부 전북 이전을 대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금융산업 종합계획 수립에 근거해 추진 위원회 구성 등 행·재정적인 지원근거가 포함된 전라북도 금융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겠다”고 답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