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소속 현직 국회의원인 두 후보자는 이번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장관직에 오르더라도 내년 4월 총선에 출마한다면 내년 1월 경에는 장관직을 사퇴해야 돼 ‘10개월 시한부 장관’ 논란이 일고 있다.
두 후보자 모두 이날 인사청문회에서 즉답을 피하며 불출마 여부에 대해 속시원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사실상 출마 의사를 접지 않은 것이다.
이를 두고 야당 의원들은 ‘시한부 장관 우려가 현실화 될 것’이라며 맹공을 퍼부었다.
또한 “정치 일정에 대해서는 지금 확실하게 말씀드리는게 제 의지대로 되지도 않는다”며 “주어진 시간에서 최선을 다해 해수부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말했다.
유 후보자는 그러면서 “(총선 출마 여부와 관련해선)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권한에 속하는 것”이라면서 “해수부에 산적한 문제가 많기 때문에 심각하게 고민해 보지 않았다”면서 즉답을 피해갔다.
유일호 후보자 역시 불출마 여부에 대해 확답을 하지 않았다. 그는 “내년 총선 출마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채로 후보자석에 앉은 게 아니냐”는 새정치연합 이미경 의원의 질의에 “네 그렇다”면서 “(내년 총선 출마) 가능성은 고민했으나 그것이 참 어려운 문제다. 하루라도 막중한 국사를 맡는 사람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하겠다”고 답변을 비껴갔다.
유 후보자는 앞서 서면답변을 통해서도 “후보자 신분인 현 시점에서 총선 출마 여부와 장관직 계속 수행 여부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면서 구체적인 언급을 삼갔다.
출마할 경우 임기가 너무 짧다는 지적에 대해선 “출마한다면 시간이 많지 않다는 말씀에 동의한다”면서도 “임기 동안 모든 것을 해결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이 “내년 1월 박근혜 대통령이 더 도와달라고 하면 어쩌겠나”란 질문에는 “그 경우 장관직을 더 수행해야 한다고 본다”고 불출마 여지를 남겼다.
두 후보자 모두 내년 총선 불출마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자, 야당 의원들은 거세게 비판했다.
유기준 후보자의 청문회에 나선 새정치연합 황주홍 의원은 “후보자가 내년 총선에 출마하게 된다면 10개월 남짓으로 1년도 못한 채로 장관직을 그만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의원은 유 후보자의 답변을 들은 뒤 “본인이 출마하겠다는 의지를 전혀 굽히지 않는 것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유일호 후보자의 청문회에 임한 새정치연합 이언주 의원은 “내년 총선에 출마할 거였다면 자질 문제를 떠나서 후보자가 고사를 했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와 함께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두 후보자가 부동산 투기, 위장전입, 세금탈루 등의 ‘의혹 3종 세트’를 모두 갖췄다며 압박했다.
유기준 후보자는 “총 3건의 위장전입 의혹이 있다”는 새정치연합 황주홍 의원의 지적에 대해 “2건만 위장전입”이라고 정정하면서도 “제 일이든 가족 일이든 잘못된 부분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공직자로서 처신을 조심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
유일호 후보자도 청문회 직전 증인선서를 통해 배우자와 장남의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 “과거 저와 가족의 사려깊지 못한 처사로 인해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서는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면서 “저 개인과 주변에 대해 보다 더 엄격한 기준으로 더욱 철저하게 관리하겠다”고 사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