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오른쪽)이 9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양성 평등에 관한 한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공방이 가열되고 있는 '이메일 논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 [사진=뉴욕타임스]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차기 유력 대권주자로 꼽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둘러싼 ‘이메일 논란‘으로 미 정치권의 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공화당은 “범죄혐의로 기소까지 될 수 있다”며 일제히 ‘힐러리 때리기’에 나섰고, 민주당은 “법률 위반이 아니다”라며 공세 차단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힐러리 전 장관의 ‘침묵’대응에 민주당 일각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새어 나오고 있다.
이번 논란은 지난 2일 뉴욕타임스(NYT) 보도로 불거졌다. 힐러리 전 장관이 지난 4년간 국무장관으로 있을 당시 관용 이메일 계정을 만들어야 하는 규정을 어기고 개인 이메일만 공무에 사용했다는 것이 보도의 요지다. 심지어 개인 이메일을 국무부 서버에 저장하지도 않았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뚜렷한 차기 대권주자를 내지 못해 수세에 몰려있던 공화당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하원 벵가지특위의 트레이 가우디(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 위원장은 8일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수개월 분의 이메일이 실종됐다”며 “특히 과거 클린턴 전 장관이 ‘벵가지 사건’과 관련해 리비아로 날아간 날을 기억하는데 그날의 이메일이 없다”고 지적했다.
대럴 아이사(공화·캘리포니아) 하원의원도 이날 CNN 방송에 출연, “만약 클린턴 전 장관이 일부러 벵가지 사건 관련 이메일을 제출하지 않는 것이라면 범죄 혐의로 기소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벵가지 사건은 힐러리 전 장관 재임 시절 9·11 테러 11주년인 2012년 9월 11일에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리비아 무장반군이 벵가지 미 영사관을 공격해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대사 등 미국인 4명이 숨졌다.
이 같은 공화당의 십자포화 속에서 민주당은 ‘힐러리 엄호’에 나섰다.
다이앤 파인스타인(민주·캘리포니아) 상원의원은 NBC 방송에 출연해 “이메일 사용 관련 규정이 모호하고 특별한 관련 법률도 없는 만큼 클린턴 전 장관이 어떤 법률도 위반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면서 “그러나 클린턴 전 장관이 지금처럼 계속 침묵하면 (정치적으로) 다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논란이 일자 클린턴 전 장관은 지난 4일 트위터를 통해 “국무부 검토를 거쳐 내 이메일을 일반인들이 볼 수 있도록 하겠다”는 한 줄 성명을 냈다. 그러나 9일 현재까지 공개 석상에 나와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 논란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