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SK텔레콤을 필두로 낮아진 공시 지원금이 이달 들어서도 그 추세를 이어가 번호이동 시장은 반 토막이 난 상태다.
10일 한국통신사업자엽합회(KOTA) 및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 이동통신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하루 평균 1만7872건을 기록해 지난달 2만9594건에 비해 40% 가까이 줄었다.
이는 각 통신사가 경쟁적으로 공시 지원금을 낮춘 탓이다.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7일까지 공시보조금 변동은 총 67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총 45건이 공시지원금을 내렸다.
무엇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과도한 리베이트(판매 장려금)를 지급한 SK텔레콤에 대해 오는 12일 전체회의에서 제재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어서 이통사들이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3월 중 SK텔레콤에 대한 방통위 제재 방안이 나올 때까지 경쟁 완화는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또 "누군가 홀로 공시지원금을 낮췄을 경우, 일주일간 상당히 처참한 수준의 영업 실적을 받아들일 수도 있으므로 일종의 암묵적 합의가 전제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한편에서는 이통사가 여전히 대리점 리베이트를 과도하게 지급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정확하게 얼마인지 구분할 수는 없으나, 전체 판매 수수료의 20% 이상이 대리점 성과 보수로 지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는 이통시장 유통 구조의 거품이 아직 청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통망은 크게 1차 대리점과 2차 판매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1차점의 경우 가입자가 매달 지불하는 요금의 4~6%를 수수료 개념으로 챙긴다. 2차점의 경우 모집 실적에 따른 인센티브가 주요 수입원이다.
최 연구원은 "단말기법 시행 후 판매량 급감에 전국에 산재한 2차점 붕괴 조짐이 나타나자 통신사 입장에서 어느 정도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했을 것"이라며 "통신사는 대리점의 급속한 붕괴를 막고 연착륙시키기 위해 모집 실적에 따른 인센티브를 상향 조정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작년 4분기 이통사 마케팅 비용이 증가한 것만 봐도 짐작할 수 있다. 당시 이통사 공시 지원금은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했고 번호이동 규모는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나 마케팅비용은 되레 늘었다.
한 대리점 관계자는 "최근 공시지원금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리베이트만 30~50만원으로 유지되고 있다"며 "고객이 받을 보조금은 줄고 유통만 살을 찌우고 있는 형국"이라고 전했다.
이에 황성진 HMC투자증구 연구원은 "장기적으로는 시장 경쟁 안정화와 더불어 점진적인 펀더멘털 지표들의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며 "통신업 전반적으로 실적 개선과 주주환원정책 강화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