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15/20150315161505848450.png)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 민간부위원장의 '흡수통일' 발언 논란이 남북관계의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하는 모양새다. [사진=JTBC방송캡쳐]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 민간부위원장의 '흡수통일' 발언 논란이 남북관계의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하는 모양새다.
예상대로 북한은 14일 정 부위원장의 '흡수통일' 발언 논란을 강력 비난하면서 통준위 해체와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이날 대변인 담화에서 "박근혜는 통일준비위원회 수장으로서 온 민족 앞에 이번 망발(정 부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명백히 책임적인 해명을 하고 사죄해야 하며 극악한 반통일 체제대결 모략기구인 통일준비위원회를 당장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부위원장은 지난 10일 ROTC 중앙회 강연회에서 "체제통일만 연구하는 팀이 위원회 가운데 따로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경실련 통일협회가 이를 문제삼아 통준위 시민자문단 탈퇴를 선언하는 등 파문이 커지자 정 부위원장은 12일 "흡수통일 준비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조평통은 "현 괴뢰패당처럼 당국과 정치권, 민간을 망라한 흡수통일 준비팀까지 조작해 체제대결에 피눈이 돼 날뛴 극악한 반통일 대결광신자는 없었다"며 통준위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표출했다.
한미 합동군사훈련에 이어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과 관련해 '종북 몰이'가 쟁점화 되고, 더불어 북한이 개성공단 내 북측 노동자의 임금을 일방적으로 올려달라고 우리측에 통보하는 등 남북관계 돌파구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이런 발언 논란으로 남북관계가 더 꼬이는 분위기다.
우선 통일부 당국자는 15일 "우리 정부는 북한이 주장하는 흡수통일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출범 때부터 통준위를 '체제통일을 위한 것'이라고 비난해 왔던 북한이 정 부위원장의 적극적인 해명에도 남한의 속내가 드러났다며 비난해 이번 발언을 남북관계 주도권을 쥐기 위한 카드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조평통은 특히 통준위를 해체하지 않으면 "현 남조선 당국과 상종조차 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해 향후 남북 당국간 회담 재개의 조건으로 걸 가능성도 적지 않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은 이번 흡수통일 논란을 우리 정부를 압박하는 소재로 활용하며 남북관계에서 주도권을 쥐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한미연합훈련인 독수리 연습이 종료되는 다음 달 말 이후 남북이 '6·15 15주년'과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본격적인 관계개선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는 기대가 있어 왔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이번 문제가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2013년에도 북한이 '남조선 당국과 상종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적이 있지만 곧바로 회담이 열린 적이 있었다"고 말했다.
2013년 6월 남북당국회담이 수석대표의 격(格) 문제로 무산된 직후 북한이 조평통 대변인 담화를 통해 "지금 우리 군대와 인민은 무뢰한들과 더 이상 상종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7월에 개성공단 실무회담이 열렸었다.
일각에서는 정 부위원장이 광복 7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민간위원장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남북 간에 관련 행사를 논의할 때 부담이 되지 않겠느냐는 우려감도 제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