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한선교 의원(새누리당)은 국내 역사교과서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많은 곳에서 위안부 문제가 축소돼 간략하게 기술돼 있는 가운데 가장 적은 교과서의 경우 본문 한 문장과 ‘위안부 소녀상’ 사진 설명뿐이었고 가장 길게 설명한 교과서는 3면에 걸쳐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등 교과서 간의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지학사에는 위안부에 대해 ‘일제는 1930년대 초부터 젊은 여성들을‘일본부 위안부’로 끌어가 성 노예로 삼았다’라고 한 문장으로 간단하게 기술했고 ‘중단원 마무리’코너에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위안부 평화비에 대한 사진 설명과 ‘수요집회에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고, 이와 같은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까닭을 서술해 보자’라는 질문으로 학생들이 위안부 문제를 직접 찾아보도록 처리했다.
미래엔은 ‘많은 젊은 여성을 전쟁터로 보내 ‘일본군 위안부’라는 이름 아래 성노예로 삼았으며’라고 소개되는 정도만 기술했다.
이처럼 위안부 관련 내용이 간략한 것은 한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이 위안부 문제를 중하게 여기지 않고 있는데 원인이 있다고 한 의원실은 지적하면서 현행 집필기준에 따르면 ‘일본군이 위안부 등을 강제 동원하고 물적 수탈을 강행했다’란 내용을 포함하도록 해 위안부 문제를 일제의 수탈 중 일부로 설명돼 있지만 일본군 위안부처럼 역사왜곡 논란을 낳는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상세한 집필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집필기준이 당장 개정된다 하더라도 교과서에 적용하는 것은 2018년에 출판·보급될 개정 교과서에서 가능해 그전까지는 보조교재를 통해 학교 교육을 보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위안부 보조교재 제작 업무를 맡은 여성가족부는 3월중으로 예정되었던 교재 작업이 늦어져 4월 중순까지도 감수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해 교재 배포에 대한 일정은 불투명한 상태다.
추후 이 위안부 보조교재는 관련기관 홈페이지에 게재 및 각 학교에 파일로 배부된 예정이다.
한선교 의원은“일본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지우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나, 우리 교과서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너무 가볍게 여겨지는 것이 아닌가 판단된다”라며 “우리 아이들에게 우리나라의 올바른 역사관을 가질 수 있도록 정확하고 충분한 역사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