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14년 중 자금순환'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잉여자금 규모는 91조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4조3000억원 늘었다.
잉여자금은 예금·보험·주식투자 등으로 굴린 돈(운용자금)에서 빌린 돈(조달자금)을 뺀 것이다. 이 자금이 늘었다는 것은 가계가 쓰지 않고 쌓아둔 돈이 많아졌다는 뜻이다.
가계의 잉여자금은 2012년 77조6000억원, 2013년 87조4000억원 등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가계는 소비를 줄이면서 동시에 빚을 늘렸다. 주택 거래 증가와 전셋값 상승에 따른 관련 대출이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은 지난해 75조4000억원으로 1년 새 10조3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위주로 만기가 1년이 넘는 은행 장기차입금이 32조8000억원에서 51조1000억원으로 18조3000억원 급증했다. 전세자금 대출, 자영업자 대출 등이 포함되는 1년 이하의 은행 단기차입급도 4조4000억원에서 13조5000억원으로 늘었다.
늘린 가계빚 때문에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졌는데 월급은 '찔끔' 오르는 데 그쳤다. 지난해 근로자의 실질임금 상승률은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인 1.3%였다.
다행히 가계의 금융부채는 금융자산의 절반이 안 된다. 지난해 말 현재 금융자산은 2천885조8천억원으로 금융부채(1295조원)보다 2.23배 많았다. 금융자산 대비 부채의 비중은 2013년 2.19배에서 소폭 개선됐다.
기업(비금융법인)은 매출이 부진한 탓에 자금 부족 규모가 2013년 31조5000억원에서 지난해 33조5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지난 한 해 동안 금융회사를 제외한 국내 기업이 조달한 자금(빌린 돈)은 101조5000억원으로 전년의 117조2000억원보다 15조7000억원 감소했다.
기업의 자금 운용(굴린 돈)은 68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7조3000억원 줄었다.
정부의 잉여자금 규모는 2013년 18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18조1000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