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수술 결과 얼굴형에는 만족할 수 있었지만, 귀가 문제였다. 만족스럽지 못했던 귀의 형태로 인해 A씨는 미국 생활 내내 스트레스를 받았고, 이로 인해 귀국 후 국내 병원을 찾게 됐다.
A씨의 사례와 같이 소이증 재수술을 고려하는 이들은 생각보다 많다. 귀의 위치가 심하게 차이가 나거나 귀의 형태가 늑연골의 흡수 등으로 녹아내린 사례, 또는 수술한 귀에서 굵은 머리카락이 자라는 사례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그러나 소이증 재수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경우 안면 외소증이 동반돼 있어 수술 부위의 혈류 등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미 수술을 했기 때문에 기존의 늑연골을 제거하고 새로운 위치에 정상귀와 비슷한 모양을 만들기는 쉽지 않은 일.
소이증의 재수술이 쉽지 않은 이유는 기존의 재건된 귀를 제거하고 새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 모든 상황이 잘 전개돼 재수술이 원활하게 진행되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피판의 괴사 등으로 귀 형태가 완성되지 못하면 다른 방법을 택하기 어려우므로 힘든 수술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비해 프로필 성형외과에서는 특별히 소이증 재수술 귀신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수술전 환자와의 충분한 면담을 진행하고, 수술 부위의 진찰과 혈류 검사를 진행한다. 필요할 때 측두, 후두부 혈류를 CT검사로 확인한 후 수술 계획을 세울 수도 있어 고객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정 원장은 “소이증 재수술은 쉽지 않은 수술이기 때문에 차선의 수술 계획까지 준비된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다”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