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새정치민주연합 우윤근 원내대표는 30일 오전 국회에서 주례회동을 열고 공무원연금 개혁을 위한 실무기구의 활동기간과 구성 등을 논의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30/20150330165547989460.jpg)
공무원연금 개혁을 위한 국민대타협기구 활동 종료 이후 추가 논의를 위한 실무기구 가동이 불발되면서 향후 단일안 도출 과정에 진통이 예상된다.[사진제공=새정치민주연합]
새누리당은 실무기구의 ‘활동시한’을 정해 단일 합의안 도출 여부와 관계없이 4월 임시국회가 시작되는 내달 7일 전에는 활동을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활동시한을 못 박지 말고 충분한 논의를 거쳐 합의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맞섰다.
새누리당은 실무기구 활동시한을 못 박지 않을 경우, 논의가 길어져 4월 임시국회 내 연금개혁안 처리가 힘들어질 것이란 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조 원내수석은 “야당은 실무기구 시한을 정하면 노조가 참여를 안 할 것이고 야당도 적극 참여하기 어려운 입장이 되기 때문에 시한을 정하는 것은 못 받아들인다는 입장”이라며 “야당 주장처럼 타협과 합의안 도출을 위한 실무기구라고 하면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새정치연합 안규백 원내수석부대표는 “새누리당은 (실무기구 활동) 기한을 못 박자는 얘기”라며 “우리는 무기한은 아니고 5월 2일이 (여야가 합의한) 데드라인이니 굳이 기한을 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30/20150330165648109111.jpg)
3월 27일 국회에서 열린 공무원연금개혁을 위한 국민대타협기구 마지막 전체회의[사진=김세구 기자 k39@aju]
실무기구 인적 구성과 관련해서도 여야는 이견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대타협기구 때처럼 국회의원의 포함을 주장한 반면 새정치연합은 국회의원 배제를 주장해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안 원내수석부대표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여야는 양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연금개혁 특위 위원들 간 추가협의를 진행하는 한편 31일 원내대표 회동을 재차 갖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여야 합의를 거쳐 실무기구가 가동되더라도 단일 합의안 도출까지도 험로가 예상된다.
실무기구는 앞서 대타협기구에서 제시된 연금 개혁안 중 새누리당과 정부안을 제외하고 △김태일 교수 안 △김용하 교수 안 △새정치민주연합 안 △공무원노조 안 등 모두 4개안을 집중논의, 단일 합의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여당과 정부안이 실무기구 논의 대상에서 빠진 것은 김태일 안에 이들 개혁안의 기본 취지가 반영돼 있기 때문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31/20150331102914623476.jpg)
공무원연금 개혁 '김태일 안 vs 김용하 안' 비교[그래픽=아주경제 미술팀]
4개안 중에서도 여야의 입장이 적절히 반영된 절충안 격인 김태일 안과 김용하 안이 실무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질 예정이지만, 여야의 시각차가 큰 것이 문제다.
김태일 안은 신규-재직 공무원의 분리가 핵심으로, 노후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 저축을 허용하고 정부가 일정부분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새누리당은 신·구 공무원을 구분하는 ‘구조개혁’에 방점을 둔 김태일 안이 연금개혁 취지에 부합한다는 입장이다.
김용하 안은 신규-재직 공무원을 분리하지 않지만, 연금재정을 ‘국민연금-공무원연금’이라는 이중구조로 만들어 소득재분배 기능을 부여한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전날 공무원연금 개혁과 동시에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상향’도 논의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만 김용하 안이 김태일 안보다 재정절감 효과가 큰 것이 변수다. 앞서 공무원연금공단이 대타협기구에서 제시된 모형으로 2085년까지 정부의 총 재정 부담을 시뮬레이션 해 본 결과 ‘김용하 안(절감액 429조 원)’이 ‘김태일 안(348조 원)’보다 약 80조 원의 재정 절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여당 지도부 일각에선 “김용하 안이 재정절감 효과가 크다면 충분히 협상할 가치가 있다”며 한 발 물러선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는 재정절감 효과가 더 큰 김용하 안이 여당 기조인 구조개혁은 아니지만, 만일 구조개혁을 통한 단일안 도출이 힘들어질 경우 재정절감 효과만큼은 확실하게 챙기겠다는 복안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공무원노조 측은 김태일 안의 신규-재직 공무원 분리를 통한 구조개혁에 기본적으로 반대의 입장이다. 김용하 안에서 제시된 소득 재분배 기능에 대해서도 “공무원연금의 특성을 해친다”며 반발하고 있어, 향후 실무기구 내 단일안 도출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