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03/20150403113224571396.jpg)
광주 북구 삼각동 국제고등학교와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옆으로 초고압 송전탑이 이설될 예정이어서 학부모들이 건강권과 학습권 침해를 우려해 반발하고 있다. [사진= 대책위 제공]
아주경제 김태성 기자 = "미래의 주인인 학생들의 건강권과 학습권을 침해하지 말아주세요"
광주 북구 삼각동 국제고등학교와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옆으로 초고압 송전탑이 이설될 예정이어서 학부모들이 건강권과 학습권 침해를 우려해 반발하고 있다.
6일 국제고등학교·전남여상 학습환경보호학부모비상대책위원회는 성명을 내고 "한 건설사가 아파트 건축을 위해 국제고와 전남여상고 교사동 옆에 154Kv 초고압 송전탑을 세우려 한다"며 "이미 공사 과정에서 분진과 소음, 대형 트럭의 교문 근처 통과로 건강권과 학습권을 위협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송전탑까지 이전하면 학생들의 안전이 심각하게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당초 건설사는 아파트 공사장 부지를 가로지르는 초고압 송전선을 지중화하기로 하고, 광주시에 송전탑 이설을 위한 도시계획 변경을 신청했다.
하지만 송전탑 이설 예정 부지가 학교와 맞닿은 공원에 있고, 학교와의 거리가 불과 10~20m 정도로 가까워 학부모들이 이에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대책위는 "현재 건설사는 시유지에 송전탑을 설치하려는 계획을 광주시 도시계획과에 제출했다"며 "해당 사업부지가 시유지인 것을 감안한다면 광주시는 학생들 피해가 없도록 이설을 금지해야 하지만 반대로 고압 송전탑을 설치하려는 도시관리계획(전기공급설비)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고압송전탑 및 고압선로가 한번 신설되면 수천명의 학생들이 당하게 될 신체적 위협과 피해는 상상을 초월한다"며 "건설 사업으로 얻는 이익으로는 환원할 수 없는 엄청난 피해를 누가 감당할 것인지 시에게 묻고싶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만일 시가 고압 송전탑 시설을 도시관리계획 민원 업무라는 미명으로 교육시설 옆에 설치한다면 국제고및 전남여상 2500여명의 학생, 학부모, 총동문회, 전교직원들은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대가를 치르더라도 투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광주시와 한전은 '제2의 밀양 송전탑' 사건을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초고압 송전선을 지중화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있던 송전탑을 옆으로 옮길 수밖에 없어 학교와 절차이행 협의 중에 있다"며 "학교 측으로부터 최근까지 이설 장소를 조금 더 떨어졌으면 한다는 요구가 있어 협의중에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